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세대 형성에 관한 연구 -시기효과(Period effect)를 중심으로-Theoretical study on the formation of generations in the post-corona era -Focusing on the period effect-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50
  • Download : 0
2020년 2월,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에 대한 이름을 ‘COVID-19’로 짓기로 결정한 지 일년이 되어가는 시점에도 여전히 ‘팬데믹(pandemic; 전염병의 대유행)’상황은 지속되고 있다. 팬데믹은 지역, 종교, 연령, 성별을 불문하고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한국인들의 인식, 가치관, 행위양식에도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본 연구는 COVID-19의 ‘시기효과(Period effect)’에 주목하여 전 세대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기존 연구가 청소년기(17~26세)의 영향력을 강조했던 것과는 구별이 된다. COVID-19 전후의 가치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설문조사에서는 사회 질서와 규율성, 의사결정시 집단종속성, 감염병 우려에 대한 인식, 안전성 등 COVID-19와 관련된 항목에서 가치관의 큰 변화가 있었다. 가치관이 크게 변화한 항목은 변화의 방향에 합일을 이루었고 세대별 격차가 거의 없거나 줄어들어 가치관이 균질화되었다. 기술 분야에서 가치관의 큰 변화와 세대별 격차규모의 큰 감소를 감안하면 ‘기술’을 사회변동의 핵심동인으로 본다. 가치관의 이질성이 오히려 심각해졌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는 다르게 정치 분야를 제외하고는 세대 간 격차가 줄어들었다.
Advisors
서용석researcherSeo, Yong-Seok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1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2021.2,[vi, 82 p. :]

Keywords

COVID-19▼a팬데믹▼a시기효과▼a세대형성▼a가치관▼a세대 간 격차▼a균질화▼a기술수용성; COVID-19▼apandemic▼aperiod effect▼agenerational formation▼avalues▼aintergenerational gap▼ahomogenization▼atechnology acceptance

URI
http://hdl.handle.net/10203/295230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48374&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F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