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연결시대 진입에 따른 미래 문화예술 소비패턴 변화에 대한 연구 - 소비주체로서 고령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future consumption patterns of arts and culture by entering hyper-connectivity era - Focusing on the lifestyle of the elderly -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56
  • Download : 0
기술혁신으로 인해 우리 사회는 삶의 방식이 근본적으로 바뀌는 패러다임을 맞이하고 있다. 초연결성, 초지능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 기술혁신은 미래 문화예술 소비패턴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이 가져올 문화예술 소비패턴의 변화를 미래 고령세대의 수용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소비주체를 탐색함에 있어서 사회적 세대 분류를 중심으로 현재 사회구성원의 가치관, 행동, 문화적 코드 등 미래 문화예술 소비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성들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문화소비의 기저요인, 기술혁신에 의한 소비여건 변화와 소비주체의 특성을 반영해 미래 문화예술 소비주체들이 보여줄 다양한 소비패턴을 Jim Dator의 4가지 대안적 미래(Four Generic Alternative Futures) 방법론을 활용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의 고령세대들은 자신들이 경험해 온 사회문화 현상, 자기다움에 대한 충족욕구, 기술수용성 등을 토대로 현재의 고령세대와는 다른 양상의 소비패턴을 보일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초연결시대의 문화예술소비에 있어 인간의 주체성은 더욱 강조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곧 기술혁신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체감되고, 인간의 존재가치에 기여해야 기꺼이 수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dvisors
서용석researcherSeo, Yongseok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0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2020.8,[iii, 37 p. :]

Keywords

초연결사회▼a문화예술 소비패턴▼a고령세대▼a문화향유▼a미래 시나리오; hyper-connectivity society▼aconsumption patterns of culture and arts▼athe elderly generation▼acultural enjoyment▼afuture scenarios

URI
http://hdl.handle.net/10203/28491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25068&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F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