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국민청원에서 나타나는 여론의 감정적 특성과 공감 관계에 관한 연구A study on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empathy of public opinion in the cheong wa dae national petition system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67
  • Download : 0
청와대 국민청원 제도를 통해 국민들은 삶에서 겪는 개인적 문제에서부터 공분을 사는 이슈까지 다양한 사안에 대해 청원을 통해 국가 최고 권력기구의 답변을 요구한다. 국가의 다양한 제도를 통해 해결법을 찾을 수 있는 문제인지와는 상관없이, 20만 명 이상의 국민이 정부 핵심의 관심과 해결을 촉구하는 데 동참하는 청원들은 그 자체로서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국민들이 공감하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 공감은 이성적 이해와 함께 감정적 감응의 결과이므로 대규모 동의를 받고 있는 청원에는 공감의 요소가 내재되어 있다고 보았다. 그 요소가 무엇인지, 그것이 과연 공감의 일반적 요소로 작용하는지 포착해 낼 수 있다면 미래 한국 사회의 발전적 소통을 위해 모두가 주목해야 할 지점이 어디인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dvisors
이광형researcherLee, Kwang Hyung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0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2020.8,[ii, 26p. :]

Keywords

국민청원▼a여론▼a이성▼a감정▼a공감; National Petition▼aPublic Opinion▼aReason▼aEmotion▼aSympathy

URI
http://hdl.handle.net/10203/284912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25065&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F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