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산업으로부터 실물경제로의 꼬리위험 전이현상에 대한 실증 분석 : 코스닥 상장사, 산업단위를 중심으로(An) empirical study on the tail risk spillover from the banking sector to real economy sector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35
  • Download : 0
본 연구는 꼬리위험 동시발생지표를 통하여 국내 은행부문에서 실물부문으로의 꼬리위험 전이현상을 확인하고, 패널자료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이에 대한 설명변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 분석 결과, 금융위기 기간 중 꼬리위험 전이강도가 非금융위기 기간 대비 높고, 산업집중도가 낮은 경쟁산업에서의 꼬리위험 전이강도가 집중산업 대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국내에서 꼬리위험 동시발생은 2001년∼2004년, 2008년∼2009년, 2011년에 집중되어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현상들은 꼬리위험을 일별 주식수익률 분포상 하위 5%로 정의한 본 연구와 하위 1%로 정의한 강건성 검정에서 모두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꼬리위험 전이현상의 설명변수를 찾기 위한 패널회귀분석에서는 분기별 시간고정효과를 포함시 모형 적합도가 크게 개선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든 산업에 동일한 영향을 끼치는 기간별 거시경제 충격이 국내 꼬리위험 전이현상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전체 기간 및 전체 산업에 대한 패널회귀분석에서 매출액 대비 외환관련손익의 절대값 비율과 부채비율은 분기별 시간고정효과를 포함한 이후에도 5% 유의수준에서 꼬리위험 동시발생지표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Advisors
조훈researcherCho, Ho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금융공학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0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프로그램, 2020.2,[ii, 46 p. :]

Keywords

세계 금융위기▼a은행산업▼a실물경제▼a꼬리위험 전이▼a꼬리위험 동시발생지표▼a산업집중도; Global Financial Crisis (GFC)▼aBanking Sector▼aReal Economy Sectors▼aTail Risk Spillover▼aConditional Coexceedance (CCX)▼aIndustry Concentration

URI
http://hdl.handle.net/10203/284880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1158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KGSF-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