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망 기계번역이 새로운 미디어로서 가지는 의의와 사회문화적 영향(The) significance and socio-cultural effects of neural machine translation as new media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395
  • Download : 0
지난 5년 여간 사이에 기계번역과 관련한 기술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했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떠오른 새로운 신경망 기계번역은 기존의 통계적 기계번역에 비해 월등히 높아진 번역 품질과 현저히 적어진 오류를 선보였다. 이러한 기계번역 기술의 진보와 함께 음성인식과 음성합성 기술 역시 발전하며, 휴대용 통역 디바이스 역시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기술적 성과를 바탕으로 사람들은 언어의 장벽이 없는 세상의 도래를 기대하게 되었다. 하지만 언어 장벽의 붕괴와 함께 기존 언어에 의존해 있던 사회문화적 맥락이 제거된 데이터가 폭발하는 시대 역시 다가오고 있다. 따라서 본 학위논문에서는 이러한 신경망 기계번역이 새로운 미디어로서 성장함에 따라 가져올 데이터 과잉에 따른 사회문화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해당 영향은 인간의 인지 능력을 초월한 데이터의 과부하로 인해 발현된 인지적 작동 기제 4가지와 그로 인한 사회현상 4가지를 집중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Advisors
서용석researcherSeo, Yongseok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0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2020.2,[iv, 44 p. :]

Keywords

신경망 기계번역▼a인공지능▼a언어장벽▼a정보과잉▼a인지적 편향; Neural Machine Translation(NMT)▼aArtificial Intelligence(AI)▼aLanguage Barrier▼aInformation Overload▼aCognitive Bias

URI
http://hdl.handle.net/10203/283997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10789&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F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