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M과 원격 메모리 접근을 동시에 사용하는 확장 메모리 시스템 연구Dual memory extension with NVM and RDMA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206
  • Download : 0
데이터센터에서 처리해야할 데이터 양이 늘어나면서 고용량 메모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높은 집적도를 가지는 비휘발성 메모리가 등장하면서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한 메모리 확장의 여지가 생겼다. 또한, 기존 네트워크보다 빠른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인 인피니밴드를 이용한 스왑 장치인 HPBD(High Performance Block Device) 또한 연구되었다. 페이지를 디스크보다 원격 노드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HPBD에 스왑하는 것보다 나은 성능을 보여주었지만 원격의 메모리는 여전히 DRAM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선 고비용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원격 메모리와 함께 옵테인 SSD를 고용량의 레벨 2 메모리로 추가하여 고용량의 시스템을 구축한다. 시스템에서 활용할 세 가지 메모리는 DRAM, 인피니밴드를 통한 원격 메모리, 옵테인 SSD이다. 각 메모리의 대역폭과 응답 속도를 분석하고 활용할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 메모리를 기반으로 진행된 연구를 바탕으로 옵테인 SSD를 포함 형태(inclusive)의 메모리로 추가하는 방법을 택했다. 페이지를 느린 옵테인 SSD로 evict할 때 수정된 페이지에 최적화를 적용해 성능 하락을 낮췄다. 구현한 시스템은 기반 시스템보다 7%의 성능 저하만 발생했으며 고용량의 메모리 확장이 가능함을 보였다. 추후, 페이지 상태에 따른 페이지 정책을 개선하는 연구할 수도 있을 것이다.
Advisors
허재혁researcherHuh, Jaehyuk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9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산학부, 2019.8,[1책 :]

Keywords

메모리 이종성▼a원격 메모리▼a비휘발성 메모리; Memory heterogeneity▼aremote memory▼anon-volatile memory

URI
http://hdl.handle.net/10203/283082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875458&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C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