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메카닉스 분석을 통한 게이미피케이션 마케팅 전략 도출(A) study on rebuilding gamification marketing strategy through an analysis of game mechanic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381
  • Download : 0
디지털기술의 급격한 발전 그리고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융합하면서 시장도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기존 시장의 배타적 힘은 포용적으로 바뀌고 있고 수직적 힘의 구조가 수평적인 힘에 의해 약화되고 있다. 시장의 변화와 힘의 이동은 소비자 관점에서 벗어나 프로슈머로서 커뮤니티와 소통하고 쌍방향적인 주체로 역할 한다. 기업 또한 새로운 고객 경로를 위한 마케팅으로, 동기유발을 통한 몰입과 재미를 제공하기 위해 게이미피케이션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포인트, 배지 등 단순히 외적 보상을 제공하면서 단기적 목적에 그치고 있고 소비자의 요구와 경로를 정확하게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게이미피케이션의 원형인 게임 메카닉을 분석하여 소비자의 직위보상 등 내재적 보상 보강과 브랜드의 친밀도를 높일 정서적 혜택을 담은 스토리텔링을 장기적인 보완적 마케팅 전략으로 제시한다.연구자는 게임개발자 그룹과 마케팅 담당자 그룹 간의 설문조사를 통해 게임 메카닉 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정서적 혜택과 이야기 요소의 중요 △직위보상 등 내재적 보상 보강 △실용적 혜택의 힘을 고려하여 단계적 내, 외적 보상 밸란스 전략도입. 초기 게이미피케이션이 포인트, 배지, 리더보드 등 손쉽고 빠른 기능을 추구하여 한계에 도달했다면, 새로운 흐름은 보이지 않는 영역에 작용하는 게임의 본질적 특성에 주목한다. 다양한 게임화 모델을 만들어 변화 상황에 더욱 적합한 것을 선택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고객과 새로운 경험과 습관을 지속해서 만들어 나가야 한다.또한, 게임 메카닉의 중요도 분석은 향후 스타트업 등 중소기업의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수립 시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두 집단 간의 군집적 비교분석으로 구체적인 여러 대안 모델들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렇기에 향후 제시된 메카닉을 바탕으로 개별 상품군별로 밸런싱을 범주화하여 다양한 구조 모형화를 만들 수 있는 후속 사례연구가 제시되었으면 한다.
Advisors
이광형researcherLee, Kwang Hyung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9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2019.8,[iv, 47 p. :]

Keywords

게임 메카닉▼a게이미케이션 마케팅▼a내적보상▼a스토리텔링▼a게임 밸런싱; game mechanic▼agamification marketing▼aintrinsic motivation▼astorytelling▼agame balancing

URI
http://hdl.handle.net/10203/282906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875135&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SJ-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