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인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이용행태 연구 : 지각된 가치 인식의 차이 중심으로(A) study on mobile instant messenger use for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70
  • Download : 0
기술적 진보와 접근성의 증가는 기술과 인간관계를 더 가깝게 만들고 기술이 일상생활에 깊게 파고들게 만들었다. 하지만 기술과 미디어 이용은 개개인 또는 사회마다 동일한 패턴을 보여주지 않고 독특한 방식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디어 기술 이용을 사람ㆍ사회ㆍ문화ㆍ환경 등의 맥락 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면밀히 조사하는 연구는 여전히 드물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부족에 비추어 본 연구는 청각 손실을 가진 청각장애인들이 비장애인과 비교해 어떤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행태를 나타내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했다. 즉, 청각장애인이 비장애인 이용자 보다 지각된 가치를 높게 인식하는지 Sweeney and Soutar(2001)의 지각된 가치의 4가지 차원을 이용해 조사했다. 그 결과, 청각장애인이 카카오톡을 사용할 때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가치는 더 높게 나타나는 반면 기능적 가치에 대한 수치는 청각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Advisors
이광형researcherLee, Kwang Hyung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9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2019.8,[34 p. :]

Keywords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a미디어 이용충족이론▼a지각된 가치▼a청각장애인▼a미디어 이용; mobile instant messenger▼adeaf▼ahard of hearing▼amedia use▼aperceived value

URI
http://hdl.handle.net/10203/282898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875119&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SJ-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