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부 응력이 수평 압밀 그라우팅 구근 형상에 미치는 영향: 2차원 축소 모형 실험 연구Effect of Overburden Stress on Bulb Shapes of Horizontal Compaction Grout in Loose Sand: 2D-scaled Experimental Study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61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주현우ko
dc.contributor.author백승훈ko
dc.contributor.author권태혁ko
dc.contributor.author한진태ko
dc.contributor.author이주형ko
dc.contributor.author유완규ko
dc.date.accessioned2021-01-07T09:30:06Z-
dc.date.available2021-01-07T09:30:06Z-
dc.date.created2021-01-07-
dc.date.created2021-01-07-
dc.date.issued2020-12-
dc.identifier.citation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36, no.12, pp.107 - 116-
dc.identifier.issn1229-2427-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79707-
dc.description.abstract압밀 그라우팅 공법은 액상화 취약 느슨한 사질토 지반의 보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기존에 상부 구조물이 있는 지반의 경우, 압밀 그라우팅 수직 주입이 불가능하여, 수평 주입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대부분 이론과 실험은 압밀 그라우팅의 수직 주입 공법을 다루고 있는 반면, 수평 압밀 그라우팅 공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평 압밀 그라우팅 공법에 대한 실내 2차원 실험을 통해 상부 구조물이나 주입 심도를 대변하는 상부 응력에 따른 그라우트 구근 형상과 팽창 방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라우트 구근의 단면은 응력 이방성과 느슨함의 정도에 따라 주로 타원형으로 팽창함을 발견하였다. 특히, 낮은 상부 응력과 낮은 상대 밀도의 조건에 수평축이 긴 타원형으로 수평 방향으로 발달하였고, 상부 응력과 상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형상이 원형에 가까워지고 수직 방향으로 팽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평 압밀 그라우팅 공법의 구근 팽창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고 나아가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현장 시공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한국지반공학회-
dc.title상부 응력이 수평 압밀 그라우팅 구근 형상에 미치는 영향: 2차원 축소 모형 실험 연구-
dc.title.alternativeEffect of Overburden Stress on Bulb Shapes of Horizontal Compaction Grout in Loose Sand: 2D-scaled Experimental Study-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36-
dc.citation.issue12-
dc.citation.beginningpage107-
dc.citation.endingpage116-
dc.citation.publicationname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dc.identifier.kciidART002666290-
dc.contributor.localauthor권태혁-
dc.contributor.nonIdAuthor한진태-
dc.contributor.nonIdAuthor이주형-
dc.contributor.nonIdAuthor유완규-
dc.description.isOpenAccessN-
Appears in Collection
C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