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분석을 통한 상업 영화의 젠더 묘사 편향의 정량화Quantification of gender biases in commercial films based on image analysi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206
  • Download : 0
최근 영화가 다루는 소재와 연출 방식이 사람들의 성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칠수 있는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는 Bechdel Test를 통해 영화 내 캐릭터의 대사 분석을 통해 여성 캐릭터의 성별묘사에 있어 영화가 갖는 편향성을 평가했다. 하지만 Bechdel Test는 캐릭터의 대사만으로 판별하기 때문에 전체 영화내에서의 여성 캐릭터의 비중이나, 여성 캐릭터 혼자 극을 이끌었을 때를 판별할 수 없다. 또한 같은 시나리오라도 감독에 의해 다른 시각적 연출이 이뤄질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며, 테스트를 통과했냐 혹은 하지 않았냐 이분법적인 잣대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성별묘사가 가질수 있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충분히 대변하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과거 다양한 매체들에 대해 이뤄진 성별묘사의 편향성에 대한 연구들의 결과에 기반하여 컴퓨터 비전 기술을 사용해 이미지와 미장센 중심으로 영화 프레임들을 분석하고 영화 안에서 여성 혹은 남성 캐릭터가 시각적으로 어떻게 묘사되고 소비되는지에 대한 정량적인 지표들을 제시한다. 이로부터 최근 한국에서 개봉한 할리우드 영화와 한국 영화 40편을 해석하여 오늘날 상업영화가 남성 캐릭터와 여성 캐릭터를 묘사하는데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영화에서 감정의 다양성, 공간과 시간 점유정도, 시각적 이미지 등 여성에게 씌어진 편향된 묘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관객들은 영화에서의 불평등한 묘사를 문화적 표준이라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편향된 묘사는 실제 사회에서의 여성을 특정한 이미지로 고착화하는데 기여한다.
Advisors
이병주researcherLee, Byungjoo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9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2019.2,[iv, 66 p. :]

Keywords

성별 묘사▼a편향성▼a벡델 테스트▼a할리우드 영화▼a한국 영화▼a영상 분석▼a미장센▼a이미지 분석; gender depiction▼abechdel Test▼aKorean movie▼aHollywood moviem▼aimage analysis▼amise-en-scene▼agender bias▼astereotype

URI
http://hdl.handle.net/10203/266038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84308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CT-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