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 | Improvement of interlaminar fracture toughness of composites at cryogenic temperature by adding carbon nanotubes = 탄소나노튜브 강화를 통한 복합재의 극저온 층간파괴인성 향상 연구link Kim, Myung-Gon; 김명곤; Kim, Chun-Gon; 김천곤, 한국과학기술원, 2009 |
152 | 유도탄 생존성 향상을 위한 유도법칙 연구 = Advanced missile guidance laws for enhancing survivabilitylink 이진익; Lee, Jin-Ik; 탁민제; Tahk, Min-Jea, 한국과학기술원, 2006 |
153 | 병렬화된 직접모사법을 이용한 극음속 외부 대기와 측면 제트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 =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hypersonic free stream and side jet flow using a parallel DSMC methodlink 김민규; Kim, Min-Gyu; 권오준; Kwon, Oh-Joon, 한국과학기술원, 2005 |
154 | 유연성을 고려한 날개 표면의 신뢰성 기반 최적설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iability based design optimization of wing surface considering wing flexibilitylink 이재훈; Lee, Jae-Hun; 권장혁; Kwon, Jang-Hyuk, 한국과학기술원, 2009 |
155 | 교란을 포함하는 고리와들의 개구리뜀 거동 및 불안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aplink 임종봉; Yim, Jong-Bbong; 이덕주; Lee, Duck-Joo, 한국과학기술원, 2007 |
156 | 복합재 구조물의 변형률과 고주파 진동의 동시 측정을 위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 시스템의 개발 = Development of fiber bragg grating sensor system for th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strain and high-frequency vibration in composite structureslink 고종인; Koh, Jong-In; 홍창선; Hong, Chang-Sun, 한국과학기술원, 2004 |
157 | A minimally invasive prediction method for respiratory gas partial pressures of alveoli and mixed venous blood = 폐포와 혼합정맥혈의 호흡가스 분압 예측을 위한 최소침습법 연구link Bae, Hwang; 배황; Chang, Keun-Shik; 장근식, 한국과학기술원, 2008 |
158 | Design of 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composite structures using planar periodic pattern = 주기 격자 패턴을 이용한 전자기파 흡수 구조체의 설계link Lee, Won-Jun; 이원준; Kim, Chun-Gon; 김천곤, 한국과학기술원, 2008 |
159 | 사각 밀폐 공간 내에서 열 복사에 의한 고체 연료 점화에 관한 연구 : 실험 과 수치 해석 = Ignition of solid fuel by thermal radiation in a confined rectangular enclosure : experiment and numerical analysislink 권기훈; Kwon, Gi-Hun; 백승욱; Baek, Seung-Wook, 한국과학기술원, 2001 |
160 | 점탄성 재료 및 ER 유체를 이용한 복합재 구조물의 진동 저감 : Vibration reduction of composite structures using viscoelastic material and Electro-Rheological fluid = Vibration reduction of composite structures using viscoelastic material and Electro-Rheological fluidlink , 한국과학기술원, 2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