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 시 잠재용융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상냉동 곡선Ideal Freezing Curve Can Avoid the Damage by Latent Heat of Fusion During Freezing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269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한기ko
dc.contributor.author박영환ko
dc.contributor.author윤웅섭ko
dc.contributor.author김택수ko
dc.contributor.author윤치순ko
dc.contributor.author김시호ko
dc.contributor.author임상현ko
dc.contributor.author김종훈ko
dc.contributor.author곽영태ko
dc.contributor.author한동욱ko
dc.contributor.author박종철ko
dc.contributor.author조범구ko
dc.date.accessioned2019-04-15T16:32:44Z-
dc.date.available2019-04-15T16:32:44Z-
dc.date.created2013-11-11-
dc.date.issued2003-04-
dc.identifier.citation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v.36, no.4, pp.219 - 228-
dc.identifier.issn2233-601X-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55912-
dc.description.abstract배경: 액체질소에 의한 냉동방법은 생물학과 의학에서 세포와 조직의 장기보존으로는 성공적인 방법이다. 잘 조절된 냉동속도와 해동의 방법과 함께 글라이세롤이나 디메칠설폭사이드 같은 냉동보존제의 사용으로 얼음결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의 유지와 생존율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여러 조직의 초저온냉동에는 조직에 맞는 냉동속도가 있다. 대상 및 방법: 가장 적합한 냉동곡선과 이를 위한 냉동챔버온도를 찾기 위해서 우리들은 조직의 열역학적 계산을 두 가지 방법으로 하였다. 하나는 직접계산방법으로 모든 냉동 대상물의 열물리학적 특성, 잠재용융열, 면적, 농도와 체적을 알아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매우 복잡하고 어떠한 경우에는 실제 값을 알 수 없다. 다른 방법은 간접계산방법으로 우선 기존의 냉동곡선으로 조직을 냉동시켜 조직의 실제 냉동곡선을 얻은 다음 시간상수로 냉동곡선을 분석한 다음 온도반응을 계산하고 적합한 x차 방정식을 대입시켜 냉동 시 온도상승을 막고 이것을 거꾸로 냉동챔버온도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결과: 이 냉동 프로그램을 중배엽줄기세포, 연골세포와 골아세포에 적용시켜 검사하였다. 조직의 온도는 온도상승과정 없이 이상적인 냉동곡선을 따라 감소하였다. 그러나 세포의 양과 수용액의 양이 적어 냉동곡선간의 생존력이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만약 더욱 부피가 큰 조직을 냉동시키거나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계속한다면 이상곡선에 더욱 근접하게 되어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이 프로그램은 이상적인 냉동곡선으로 조직을 냉동시키기 위한 냉동챔버온도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대한흉부외과학회-
dc.title냉동 시 잠재용융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상냉동 곡선-
dc.title.alternativeIdeal Freezing Curve Can Avoid the Damage by Latent Heat of Fusion During Freezing-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36-
dc.citation.issue4-
dc.citation.beginningpage219-
dc.citation.endingpage228-
dc.citation.publicationname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dc.identifier.kciidART000871904-
dc.contributor.localauthor김택수-
dc.contributor.nonIdAuthor박한기-
dc.contributor.nonIdAuthor박영환-
dc.contributor.nonIdAuthor윤웅섭-
dc.contributor.nonIdAuthor윤치순-
dc.contributor.nonIdAuthor김시호-
dc.contributor.nonIdAuthor임상현-
dc.contributor.nonIdAuthor김종훈-
dc.contributor.nonIdAuthor곽영태-
dc.contributor.nonIdAuthor한동욱-
dc.contributor.nonIdAuthor박종철-
dc.contributor.nonIdAuthor조범구-
dc.subject.keywordAuthor1. 초저온냉동(cryopreservation)2. 동종이식(transplantation-
dc.subject.keywordAuthorhomologous)7. Takamatsu H-
dc.subject.keywordAuthorRubinsky B. Viability of deformed cells. Cryobiology 1999-
dc.subject.keywordAuthor39:243-51.8. Brockbank KG-
dc.subject.keywordAuthorLightfoot FG-
dc.subject.keywordAuthorSong YC-
dc.subject.keywordAuthorTaylor MJ. Interstitial ice formation in cryopreserved homograft-
dc.subject.keywordAuthor1. Cryopreservation2. Transplantation-
dc.subject.keywordAuthorhomologous*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센타연구소-
dc.subject.keywordAuthor흉부외과학교실-
Appears in Collection
M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