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학제연구 이해의 탐색적 연구: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연구사업’과의 차별성을 중심으로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cept of Transdisciplinary Research: A Local Case of “Citizen Research Project for Social Problem Solving”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23
  • Download : 0
사회적, 경제적 현상이 복잡 다양한 형태로 변화함에 따라 학제간연구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게 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학제간연구(interdisciplinary research), 다학문연구(multidisciplinary research), 초학제연구(transdisciplinary research)의 3가지 유형이 빈번하게 언급된다. 하지만 유형 간 경계는 여전히 모호하며 각 유형의 정의도 다양하다. 특히 선행 연구에서는 초학제연구를 학제간연구의 연장선 상에서 분석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잡다단한 사회문제 해결에 방점을 둔 초학제연구가 학제간연구의 연장선 상에서 다루어지는 것에 대한 한계를 짚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초학제연구의 최근 연구 흐름을 검토한다. 또한 초학제연구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초학제연구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사회구성원의 참여가 강조되는 ‘시민과학’, ‘시민참여’ 등의 논의와 초학제연구와의 차이를 살펴보고, 나아가 초학제연구와 관련된 국내외 사례를 검토・비교하여 국내 사례의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Publisher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Issue Date
2017
Language
Korean
Keywords

초학제연구; 학제간연구; 초학제성; 학제성;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 transdisciplinary research; interdisciplinary research; transdisciplinarity. interdisciplinarity; taxonomy of interdisciplinarity; research for social problem solving

Citation

정책분석평가학회보, v.27, no.3, pp.133 - 161

ISSN
1226-6841
URI
http://hdl.handle.net/10203/241155
Appears in Collectio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