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 social network analysis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ocial network analysis system using the object-relational data model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808
  • Download : 0
SNS 시스템의 사용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생성하는 데이터의 양은 매우 크다. 그러므로 상용 SNS 시스템은 확장성이 좋은 key-value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다. 그러나, key-value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가 비정규화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update가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객체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 오디세우스/SNS가 개발되었다. 객체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를 정규화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update가 효율적이다. 그러나 시스템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는 cross-node join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오디세우스/SNS는 cross-node join을 해결할 수 있는 novel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SNA는 사용자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찾는 연구를 말한다. Key-Value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 SNS 시스템은 비정규화된 데이터와 정규화된 데이터가 공존하기 때문에 SNA가 비효율적이나, 객체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 SNS 시스템은 정규화된 데이터만 존재하기 때문에 SNA가 효율적이다. 하지만, 객체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 SNS 시스템의 SNA 방법에 대한 연구는 학계에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체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 SNS 시스템의 SNA 시스템(객체 관계형 SNA 시스템)을 최초로 제안한다. 둘째, 실험을 통해 객체 관계형 SNA 시스템의 성능을 상용 SNA 시스템과 비교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객체 관계형 SNA 시스템은 상용 SNA 시스템의 성능보다 뛰어나거나 비슷함을 보인다.
Advisors
황규영researcherWhang, Kyu-Young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6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산학부, 2016.2 ,[vi, 35 p. :]

Keywords

소셜 네트워크 분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객체 관계형 데이터 모델; 소셜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 키-밸류 데이터 모델; SNA; SNS; Object-Relational Data Model; SNA system; Key-Value Data Model

URI
http://hdl.handle.net/10203/22191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49692&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C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