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시스템 분석을 통한 미래 예측 및 전략 연구Future strategy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 systems analysi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080
  • Download : 0
이 연구의 목적은 2035년 초증강현실(hyper augmented reality) 시대를 대비한 다양한 시나리오별 미래전략과 2017년에 수행할 제4차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진흥 종합계획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미래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문헌 및 인터뷰를 통해 평생교육에 필요한 내부요인(the internal factors)을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인 평생교육의 미래요인(the future factors or the external factors), 법 및 정책요인(the means)은 정부 평생교육기관 관계자, 대학 평생교육기관 관계자, 외부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들로 구성된 65명의 설문을 통해 최종 도출하였다. 설문의 결과에서는 앞으로 정부의 평생교육 재정 확보가 가장 중요한 미래 요인이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통합적인 운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현재의 시스템과 앞으로의 미래 변화를 예측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사고(system thinking)인 평생교육의 인과관계지도(casual loop diagram)는 최종 도출된 모든 요인들을 바탕으로 미래 정책 방향성을 설계할 때 사용되는 Multi-Actor System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이 인과관계지도를 통해, 불확실한 미래요인에 의한 시나리오 플래닝을 실시하였고, 5 방향의 미래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각각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앞으로 다가오는 초증강현실 시대를 대비한 미래전략을 도출하였고, 윈드터널링(wind tunneling) 방식을 통해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미래 전략을 최종 정리하였다. 가장 중요한 전략으로는 방통대와 K-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의 통합운영, 평생학습관 통합운영, 평생교육도시 정책 폐지 등이 도출되었다. 그 외에도 ‘통일’과 ‘사회변화의 너무 빠른 속도로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의 와일드 카드(wild card) 시나리오를 작성하였고, 각 시나리오에서 필요한 미래전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의 미래를 위한 정답일 수는 없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단편적인 평생교육 연구를 벗어나,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미래 전략을 수립하여 어떠한 미래가 오더라도 평생교육의 바람직한 미래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포트폴리오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dvisors
박병원Park, Byeongwon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6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2016.8 ,[vii, 80 p. :]

Keywords

평생교육; 증강현실; 미래전략; 한국형무크; 다중행위분석법; lifelong education; hyper augmented reality era; future strategy; K-MOOC; Multi-Actor System

URI
http://hdl.handle.net/10203/221392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6334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GF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