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the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 in university laboratories대학실험실의 지식창출 과정 연구 : KAIST 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65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Kim, So Young-
dc.contributor.advisor김소영-
dc.contributor.authorYang, Seolmin-
dc.contributor.author양설민-
dc.date.accessioned2017-03-17T19:31:46Z-
dc.date.available2017-03-17T19:31:4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63268&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20711-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2016.8 ,[iii, 60 p. :]-
dc.description.abstract대학은 국가혁신시스템 내 대표적인 혁신 주체임에도 불구하고 지식을 실제로 창출하는 대학 구성원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본 논문은 양적, 질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대학 실험실의 지식창출 과정에서 대학원생과 교수의 역할 및 인식을 연구하였다. 첫째, 각종 실험과 연구를 직접 수행하는 등 실험실 지식 생산의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대학원생들을 인터뷰하여 실험실에서의 지식창출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식 및 창의성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둘째, 한국의 대표적인 과학기술중심대학인 KAIST의 대학원생과 교수를 상대로 설문 조사를 통해 이론적 분석틀을 검증하는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 조사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인과적 요인간의 관계성과 대학원생 및 교수 간의 상호 영향을 고려하여 구조방정식과 다층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dc.languageeng-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Knowledge creation-
dc.subjectlaboratory dynamics-
dc.subjectgraduate student-
dc.subjectprofessor-
dc.subjectcreativity-
dc.subject지식창출-
dc.subject암묵지-
dc.subject창의성-
dc.subject대학원생-
dc.subject교수-
dc.subject혁신-
dc.titleUnderstanding the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 in university laboratories-
dc.title.alternative대학실험실의 지식창출 과정 연구 : KAIST 사례를 중심으로-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과학기술정책대학원,-
dc.contributor.localauthorKim, So Young-
dc.contributor.localauthor김소영-
Appears in Collection
STP-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