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사업 적용에 따른 탄소저감 효과 - 전주TB지역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th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 - A Case Study of Jeonju Test-Bed -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939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기용ko
dc.contributor.author이상은ko
dc.contributor.author박희경ko
dc.date.accessioned2016-12-01T06:56:55Z-
dc.date.available2016-12-01T06:56:55Z-
dc.date.created2016-06-16-
dc.date.created2016-06-16-
dc.date.issued2016-02-
dc.identifier.citation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v.36, no.1, pp.65 - 74-
dc.identifier.issn1015-6348-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1453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해 각광받고 있는 도시재생사업계획시 탄소저감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며, 전주시TB지역에서 논의되었던 실제 사업을 중심으로 실증코자 한다. 우선, 전주시의 구도심인 TB지역을 대상으로 문제점 및 잠재력을 분석하여,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이고 적합한 도시재생사업을 전략적으로 계획하였다. 그리고 각 사업별, 저감시나리오별 탄소 발생량 및 저감량을 분석하였다. 탄소배출원 분류는 IPCC에서 제시한 자료를 토대로 분류체계를 작성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을 통한 배출량 산정법, 기존 탄소 배출량 산정 결과를 바탕으로 한 Down-Scaling 산정법, 원단위를 활용한 배출량 산정법,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한 산정법(건축물 분야)을 서로 연개하여 탄소배출량을 분석하였다. 현황분석에서 대상지역의 탄소발생량은 102,149tCO2eq로 산정되었으며, 특히 ‘건축물’ 부분의 배출 비중이 약 70%으로서, 도시재생사업시 건축물 분야에 집중하는 것이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해 효율적인 전략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대상지역의 2020년의 탄소배출량은 2011년 대비 3,826tCo2eq 만큼 자연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상가 공실률 증가와 산업체 수 및 주거지역 인구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대상지역에 대해 5개의 분야(도시환경, 토지이용, 녹색교통,저탄소 에너지, 녹색건축물)에 걸쳐 도시재생 전략사업을 적용 하였을 경우 총 10,628tCO2eq 만큼이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축물 부문에 한정하여 세부적인 사업계획을 세웠을 경우 탄소 저감량은 4,857tCO2로 15.47%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도시재생에 따른 탄소저감량을 높이기 위해서 시나리오 A, B, C로 구분하여 각 사업별 목표치를 설정하여 예측한 결과, 시나리오 A가 약 5%, B가 11%,C가 15%로 분석되어 최소한 11% 이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나리오 B를 도시재생 사업의 탄소저감 목표치로 설정하여 중장기 사업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정부 정책과 연계한 도시재생사업의 구체적인 계획 수립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시의 환경정비를 위한 재생의 이슈와 함께, 기후변화저감에 기여하기 위한 지역차원의 노력을 종합해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대한토목학회-
dc.title도시재생사업 적용에 따른 탄소저감 효과 - 전주TB지역을 대상으로 --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ffec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th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 - A Case Study of Jeonju Test-Bed --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36-
dc.citation.issue1-
dc.citation.beginningpage65-
dc.citation.endingpage74-
dc.citation.publicationname대한토목학회논문집(국문)-
dc.identifier.doi10.12652/Ksce.2016.36.1.0065-
dc.identifier.kciidART002078330-
dc.contributor.localauthor박희경-
dc.contributor.nonIdAuthor박기용-
dc.contributor.nonIdAuthor이상은-
dc.subject.keywordAuthorUrban regeneration-
dc.subject.keywordAuthorCarbon emission-
dc.subject.keywordAuthorCarbon reduction-
dc.subject.keywordAuthorClimate change-
dc.subject.keywordAuthor도시재생-
dc.subject.keywordAuthor탄소발생량-
dc.subject.keywordAuthor탄소저감-
dc.subject.keywordAuthor기후변화-
Appears in Collection
C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