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Convergence Science(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 by Type Conference

Showing results 1861 to 1880 of 1950

1861
참여미학에 기초한 상호작용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지각원리를 활용한 상호작용 모듈의 구조 디자인 및 구현을 중심으로

Chang Young Lim, 한국정보과학회, pp.0 - 0, 2003-02-01

1862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화상디자인의 유사성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

임창영, HCI학회, 2004

1863
최신 CG 기술과 콘텐츠 적용

노준용; 서재우; 최병국; 설영호, HCI 2011, HCI, 2011-01-27

1864
최한기의 기학과 의학

신동원, 현곡학회 제25차 월례모임, 1996

1865
추계적 경계모형을 이용한 기술효율성 측정

유평일, 한국경제학회 정기학술대회, 1992

1866
축구 동작 생성을 위한 물리 기반 전신 캐릭터 제어

노준용; 한다성; 조경민; 신성용; 홍석표,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9 학술대회,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9-07-05

1867
카이스트 어휘망과 명사의미 연구

배선미; 시정곤, 한국언어정보학회 여름학술대회, pp.39 - 53, 2005-06

1868
캐릭터와 플롯을 연계한 스토리DB 구축 시스템

이현진; 전봉관, The 8th Digital Storytelling Conference 2012, pp.118 - 128, 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 2012-11-26

1869
커팅킴: VR 보이스 인터랙션 게임

배준형; 최은진; 남주한, HCI Korea 2023, 한국HCI학회, 2023-02-03

1870
컨텍스 기반 상호작용을 위한 ubi-UCAM 과 NAVER 인터페이스

이석희; 우운택, 한국정보과학회 03 가을학술발표, v.30, no.2, pp.685 - 687, 한국정보과학회, 2003-10

1871
컨텍스트 기반 RCI (Real-Cyber space Interaction) 프레임워크

이석희; 이영호; 우운택,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 하계종합학술대회 , v.27, no.1, pp.643 - 646, 대한전자공학회, 2004-06

1872
컨텍스트 기반 분산 상호작용을 위한 가상 환경 프레임워크

이석희; 장세이; 홍동표; 정석민; 우운택, KHCI2004, pp.242 - 247, 한국정보과학회, 2004-02

1873
컨텍스트 기반 응용 서비스를 위한 정형화된 컨텍스트 구조 설계

장세이; 우운택, JCCI2005 , pp.56 - 56, 2005-04

1874
컨텍스트 인식 응용 서비스 통합을 위한 지능형 컨텍스트 통합기 설계

오유수; 우운택,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 하계종합학술대회, v.27, no.1, pp.667 - 670, 대한전자공학회, 2004

1875
컬러 정보를 포함하는 보완적 특징점 기반 기술자를 활용한 객체인식

우운택; 장영균; 김주환; 문승건; 남택진; 권동수, KCC 2012, 한국정보과학회, 2012-06

1876
컬러 정보를 포함하는 보완적 특징점 기반 기술자를 활용한 객체인식

장영균; 김주환; 문승건; 남택진; 권동수; 우운택, 한국정보과학회 2012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v.39, no.1, pp.341 - 343, 한국정보과학회, 2012-06-26

1877
컬러의 채널 특성을 고려한 확률기반 배경분리 기법

홍동표; 우운택, 2002 한국신호처리학회 학술발표회, pp.299 - 302, 한국신호처리학회, 2002-09

1878
컴퓨터를 이용한 한글서체 개발

임창영, 한국정보과학회 S/W공학연구회 학술대회, pp.27 - 30, 1989

1879
코멘트 분석을 통해 본 소셜 e-book의 성공 가능성

이세연; 시정곤, HCI Korea 2013, HCI Korea, 2013-02-01

1880
클래식 피아노 음악에서 감정 표현 변화에 따른 연주 특징 분석

김유진; 정다샘; 권태균; 박정미; 남주한, 2020 한국음향학회 추계 공동 학술대회, 한국음향학회, 2020-11-05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