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 포워드 루프를 이용한 ASE 주입기반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통신 시스템의 잡음 억제방안Noise suppression method in ASE seeded WDM system using feed forward loop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81
  • Download : 0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광통신망은 넓은 대역폭, 높은 보안성, 확장성과 프로토콜의 투명성으로 인해 차세대 광통신망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높은 가격으로 인해 메트로/가입자망에서의 응용은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SE 주입기반의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이 제안되어 1.25 Gb/s x 32 채널에 대해 표준화가 완료되었다. 이 망은 간단하고, 가격효율적이며, 파장무관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spectrum sliced 빛의 ASE-ASE 비팅 잡음으로 인해, 전송 용량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지금까지, 이 잡음을 제한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반사형 변조기에서 발생하는 이득포화 현상을 이용한 방법이다. 이 방법의 경우 반사형 변조기에 주입되는 광파워를 증가시키는 방법만으로, 잡음을 억제할 수 있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높은 잡음 억제율을 위해서는 높은 광파워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가격이 증가한다. 가격을 줄이고, 전송거리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주입광파워는 최대한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피드포워드 루프에 기반한 잡음 억제 방법을 제안한다. 빛의 일부분을 광-전 변환회로를 포함한 피드포워드 루프에 삽입한다. 그러면, 빛 안의 ASE-ASE 비팅 잡음이 피드포워드 전류로 변환되고, 그 피드포워드 전류는 반전된후 변조기에 삽입된다. 이렇게 하면 변조기 내에서 피드포워드 전류와 빛 안의 ASE-ASE 비팅 잡음이 서로 상쇄간섭을 일으켜 잡음을 억제할 수 있다. 피드포워드 잡음 억제율과 제한요인을, 실험과 이론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 제한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역시 논하였다. 잡음 억제후 비트오율을 측정할 경우, 비트오율 상승폭이 예상한 값보다 적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잡음의 통계적 분포가 잡음 억제 후 변화되기 때문이다. ASE-ASE 비팅잡음은 감마 분포를 갖는데, 이 분포는 잡음 억제후 왜곡되어 가우시안 분포와 비슷하게 변화된다. 이 변화는 잡음 억제 수준에 비례한다. 추가적으로, 이 효과는 전송속도가 올라갈수록 점점 크게 나타난다. 분포왜곡은 잡음 억제에 따르는 부작용 처럼 생각할 수 있으며, 잡음 억제의 긍정적인 효과를 줄인다. 기존의 이득포화를 이용한 잡음 억제법과 피드포워드 방법을 이용한 잡음억제법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피드포워드 잡음억제법을 적용한 ASE 주입기반 WDM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1.25 Gb/s 시스템의 경우, RIN을 5 dB 감소시켜 필요한 주입광파워를 8 dB 줄일수 있었다. 2.5 Gb/s 시스템의 경우, 50 GHz 채널간격 (일반적 시스템의 절반)을 갖는 촘촘한 파장분할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피드포워드 잡음억제법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무오류 전송이 불가능하였으나, 피드포워드 잡음 억제를 통해 -12 dBm 의 주입파워에서 20 km 의 거리를 전송하였다. 10 Gb/s 시스템의 경우에는 1세대 FEC 기준으로 필요주입 광파워를 12.5 dB 감소시켰고, 달성가능한 비트오율을 1 order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 편광다중화를 통해 20 Gb/s 시스템의 가능성을 보였다.
Advisors
이창희researcherLee, Chang Hee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5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과, 2015.2 ,[iii, 84p. :]

Keywords

파장분할다중화; 잡음; 억제; 피드포워드; WDM; Noise; Suppression; Feed forward

URI
http://hdl.handle.net/10203/206924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15671&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