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itchenHub: limiting food waste and increasing food safety using business-to-consumer trackingThe KitchenHub: B2C 트래킹을 통한 식품낭비 방지 및 식품안전 향상을 위한 시스템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14
  • Download : 0
기술이 발달된 현대 사회에서도 식품안전과 음식물 쓰레기의 문제는 아직 큰 문제이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매년 미국인 6명중 1명은(48,000,000명) 식품언전 관련 질환에 걸리고 그중 12만명은 병원에 입원하며, 3000명은 사망에 이르기까지 한다고 알려져 있다. 식품안전과 관련되어 보다 나은 정보공유가 있다면 이런 감염사례를 줄일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식품안전뿐만 아니라 나날이 늘어가는 음식물쓰레기 문제 역시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매년 전체 식품 공급량의 1/3 가량인 13억톤의 음식물쓰레기가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많은 비중의 음식물쓰레기가 개발도상국 및 선진국의 소비자 단계에서 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에서는 식품안전을 향상시키고 음식물쓰레기가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KitchenHub 플랫폼을 제안한다. 해당 플랫폼은 특정 상품을 검출 및 인식하고 해당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펴니한 접근성의 형태로 표시한다. 기존의 시스템들은 주로 기업간 거래를 목표로 상품의 유통단계 상 위치추적에 중점을 두었다면, 본 플랫폼은 기존의 b2b 구조뿐만 아니라 최종 소비자로의 유통단계까지 고려되어 구축하게 되었다. 해당 플랫폼의 구성은 사용자의 집에 위치하게 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KitchenHub 과, 다수의 데이터 수집점들(예, RFID 리더스) 그리고 룩업, 상품정보, 리콜의 세가지의 클라우드 서비스들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는 데이터 수집점들이 여러 식품저장고(냉장고, 냉동고, 선반 등)와 연동되도록 설정한다. 데이터 수집점들이 물건들을 인식하고 그들 고유의 물품번로를 KitchenHub에 보내게 되면 플랫폼은 물건을 식품저장고에 연동되게 된다. 고유 물품번호는 GSI 스탠더드 형식인 SGTIN을 이용하여 여기에 회사번호, 상품번호 및 고유 시리얼넘버가 들어간다. 여러가지 형태의 GSI 스탠더드 포맷이 본 프로젝트에 사용된다. 아직 본 프로젝트는 상용화에 앞서 아직 많은 부분들에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많이 남아있으나 제한적인 기간내에 해당 컨셉의 가능성을 학왼했다는 데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냈다고 본인은 평가한다.
Advisors
Kim, Dae Youngresearcher김대영researcherMadsen, Ja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부,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5
Identifier
325007
Language
eng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산학부, 2015.8 ,[viii, 94 p :]

Keywords

RFID; Food waste; Food safety; GS1; Recall

URI
http://hdl.handle.net/10203/206638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28737&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C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