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 stability of hovering and forward flight of insect-like flapping-wing micro air vehicles곤충형 초소형 날갯짓 비행체의 제자리 비행 및 전진 비행 시 동적 안정성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11
  • Download : 0
본 연구는 곤충형 초소형 날갯짓 비행체의 제자리 비행 및 전진 비행이 동적 불안정성을 가짐을 밝혔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세로방향의 불안정한 진동 모드와 가로방향의 임계 안정 모드에 기인한다. 박각시의 형태를 가지는 해석 대상 날갯짓 비행체를 제자리 비행부터 1.0 m/s까지 전진 비행 속도를 변화시키며 안정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세로방향의 불안정 진동 모드는 비행체의 전/후진 방향 운동과 피치 방향의 운동의 연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며, 가로방향의 임계 안정 모드는 좌/우 방향의 운동과 롤/요 운동의 연성이 그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전진 비행 속도가 빨라질수록 세로방향 불안정 진동 모드는 더욱 불안정하게 변화하며, 빠른 비행 속도에서는 상/하 방향의 운동이 지배적으로 커짐을 알 수 있었다. 가로방향의 임계 안정 모드는 빠른 비행 속도에서는 다소 안정한 형태로 변화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날개의 유연성이 동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트림 조건을 기준으로 한 선형 구간 내에서는 미소 교란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날개의 변형이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 특성을 변화시킬 만큼 크지 않기 때문에, 강체 날개 모델과 유연 날개 모델을 가지는 날갯짓 비행체의 동적 안정성은 정성적 그리고 정량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비선형 주기 특성을 가지는 날갯짓 비행체 시스템에, 날갯짓 주기를 기준으로 평균값을 취하고 특정 참조 조건을 기준으로 선형화를 하는 일반적인 안정성 분석 방법론이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선형 시스템의 응답과 비선형 다물체 시스템의 직접 시간 적분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세로방향의 경우에는 선형 시스템이 동적 안정성을 잘 근사함을 확인하였으나, 가로방향의 경우에는 상태변수간의 연성과 세로-가로 운동 평면간의 연성 효과로 인하여 그 예측값이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곤충형 초소형 날갯짓 비행체의 설계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동적 안정성 분석 도구와,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박각시 크기의 날갯짓 비행체의 제자리 및 전진 비행의 동적 안정성 특성은, 이와 같은 새로운 개념의 초소형 비행체의 개발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연구이다.
Advisors
Han, Jae Hungresearcher한재흥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5
Identifier
325007
Language
eng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항공우주공학과, 2015.8 ,[viii, 127 :]

Keywords

Flight dynamic stability; Flapping-wing Micro Air Vehicles; Fluid-Structure Interaction; Hovering flight; Forward flight; 비행 동적 안정성; 초소형 날갯짓 비행체; 유체-구조 연계; 제자리 비행; 전진 비행

URI
http://hdl.handle.net/10203/206513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28689&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A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