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이동통신 기술의 현황 및 전망5G Wireless Systems Communication Technology: Present and Futur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53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동호ko
dc.contributor.author이주용ko
dc.date.accessioned2016-04-05T15:33:33Z-
dc.date.available2016-04-05T15:33:33Z-
dc.date.created2014-12-01-
dc.date.created2014-12-01-
dc.date.issued2014-04-
dc.identifier.citationTelecommunications Review, v.24, no.2, pp.202 - 209-
dc.identifier.issn1226-5586-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02785-
dc.description.abstract5세대 이동통신은 현재 4세대 이동통신 대비 1000배의 무선 용량 지원과 1000배의 전송 에너지 절감 및 1000배의 디바이스 수용을 요구하고 있다. 무선 용량 증대 및 전송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위해서는 소형셀 중심의 망으로 진화가 필요하며 수많은 소형셀들의 효과적인 연동을 위해서 무선 백홀망의 구성 및 소형셀 들간 간섭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수십, 수백개의 많은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은 주파수 효율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안테나의 활용은 모뎀 사용의 복잡도와 함께 RF chain의 복잡도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디지탈 빔포밍과 아날로그 빔포밍을 절충한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술과 함께 빔공간 MIMO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다.-
dc.languageKorean-
dc.publisherSK텔레콤-
dc.title5G 이동통신 기술의 현황 및 전망-
dc.title.alternative5G Wireless Systems Communication Technology: Present and Future-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citation.volume24-
dc.citation.issue2-
dc.citation.beginningpage202-
dc.citation.endingpage209-
dc.citation.publicationnameTelecommunications Review-
dc.identifier.kciidART001871468-
dc.contributor.localauthor조동호-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subject.keywordAuthor5세대 이동통신-
dc.subject.keywordAuthor소형셀-
dc.subject.keywordAuthor패턴/편파 안테나-
dc.subject.keywordAuthor빔포밍-
dc.subject.keywordAuthor밀리미터파 전송-
dc.subject.keywordAuthor5G Wireless communication-
dc.subject.keywordAuthorSmall cell-
dc.subject.keywordAuthorPattern/polarization antenna-
dc.subject.keywordAuthorBeamforming-
dc.subject.keywordAuthorMillimeter wave-
Appears in Collection
E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