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정안구반사를 모방한 영상 흔들림 억제에 대한 연구Study of constraining image shaking by the vestibulo-ocular reflex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975
  • Download : 0
영상 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영상 안정화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영상 안정화의 주 목적은 영상에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관측하고자 하는 정보를 영상에서 안정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이동형 차량, 망원경, 디지털 카메라 등 많은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전 영상 안정화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기구를 이용하여 기반 진동을 보상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알고리즘적으로 프로그램으로 영상을 안정화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첫 번째와 같은 기구를 이용한 방법에서 생물학적 사람 시선 안정화를 모방한 영상 안정화 제어 알고리즘에 초점을 두고 있다. 사람의 시선 안정화는 생리학 분야에서 흔히 전정안구반사라고 지칭하고 있다. 전정안구반사는 사람의 머리가 흔들릴 때 안구를 반대로 움직여줌으로써 안구에 맺히는 영상 정보가 흔들리지 않도록 작동한다. 일상 생활 동안 사람의 머리는 지속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이러한 전정안구반사는 시선 안정화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전정안구반사는 개루프 제어 방식으로 작동하고, 이 개루프 제어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적응하여 보완하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의 핵심은 이러한 특징을 갖는 전정안구반사를 영상 안정화에 접목하여 실제로 구현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전정안구반사를 모방한 새로운 영상 안정화 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이를 선형 모터를 이용하여 개발한 고속 영상 안정화 장치에 적용하였다. 제안 방법을 소개하기 앞서 먼저 전정안구반사의 생물학적 속성에 대하여 분석해보고, 이를 실제 영상 안정화 문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자세히 언급하였다. 이로부터 전체 제어 전략과 제어의 특징을 수학적으로 유도하고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제안 방법을 모의실험과 실제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검증해 보고 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제 영상 안정화에 대한 성능 검증을 위해 기존 영상 안정화 분야에서 이용하고 있는 영상 정보 전환 충실도를 이용하였다. 이로부터 제안 방법을 이용하면 시스템에 불확실성이 있더라도 영상 안정화가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Advisors
김수현researcherKim, Soo-Hyun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3
Identifier
561381/325007  / 020087106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2013.8, [ vii, 96 p. ]

Keywords

영상 안정화; vibration rejection; adaptation; vestibulo-ocular reflex; image stabilization; 진동 억제; 전정안구반사; 적응

URI
http://hdl.handle.net/10203/197457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61381&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M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