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구조에서 유로피엄 3가 유기 복합물의 광학적 성질에 대한 국부화된 표면 플라즈몬의 영향The effect of localized surface plasmon on optical properties of the europium trivalent organometallic complex in OLED structur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79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철-
dc.contributor.advisorChoi, Kyung-Cheol-
dc.contributor.author신정빈-
dc.contributor.authorShin, Jeong-Bin-
dc.date.accessioned2015-04-23T06:14:33Z-
dc.date.available2015-04-23T06:14:33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69246&flag=dissertation-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196774-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과, 2014.2, [ viii, 36 p. ]-
dc.description.abstract기존의 용액 공정 가능한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의 양극부터 발광층까지의 구조에서 유로피엄 유기 복합물의 photoluminescence (PL)가 plasmonic effect에 의해 향상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뭉친 금 나노 입자는 유로피엄 유기 복합물의 PL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었고, 뭉친 금 나노 입자의 농도가 0 mM에서 1.86 mM까지 증가함에 따라 주요 발광 부분인 614 nm에서의 발광 세기가 31% 증가하였다. 금 나노 입자의 뭉침 현상은 뭉치지 않은 금 나노 입자에 비해 red wavelength영역에서 plasmonic band를 형성하기 때문에, 뭉친 금 나노 입자의 extinction과 유로피엄 유기 복합물의 발광 밴드간의 겹침 현상은 resonant coupling을 통해 발광 물질의 자발광률을 향상시킨다. 뭉친 금 나노 입자로 인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뭉친 금 나노 입자가 삽입된 샘플의 적분된 PL세기를 뭉친 금 나노 입자가 삽입되지 않은 샘플의 적분된 PL세기 값으로 나눠준 enhancement factor를 계산하였다. Enhancement factor값은 뭉친 금 나노 입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계속하여 증가하였으며 1.24 mM을 지남에 따라 포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금속 나노 입자의 첨가에 따른 발광 세기의 변화 이외에도, 우리는 electric dipole transition (5D0kor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유로피엄-
dc.subjectNon-linear optics-
dc.subjectRare-earth metals-
dc.subjectPlasmonics-
dc.subjectPhotoluminescence-
dc.subjectEuropium-
dc.subject포토루미너센스-
dc.subject플라즈모닉스-
dc.subject희토류 메탈-
dc.subject비선형 광학-
dc.titleOLED구조에서 유로피엄 3가 유기 복합물의 광학적 성질에 대한 국부화된 표면 플라즈몬의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localized surface plasmon on optical properties of the europium trivalent organometallic complex in OLED structure-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569246/325007 -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과, -
dc.identifier.uid020123372-
dc.contributor.localauthor최경철-
dc.contributor.localauthorChoi, Kyung-Cheol-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