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법을 이용한 표면 플라즈몬 강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 구조의 최적화Structural optimization of surface plasmon enhanc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ing FDTD method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016
  • Download : 0
일반적인 평면 OLED에서는 엑시톤에 의해 형성된 대부분의 빛이 여러 손실모드를 통해 소실된다. 특히 표면 플라즈몬에 의해 소모되는 양이 상당하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원리로는 나노 패턴을 삽입하여 유도할 수 있는 브래그 산란 효과가 있다. 광 추출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소자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소자의 광학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이 필수적이다. 광학적 손실 메커니즘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고효율 OLED를 모델링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전형적인 분석법으로는 전달 행렬 방식이 있는데, 이 방식으로 나노 패턴 삽입 소자를 분석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전달 행렬 방식은 매질 경계면에서 전기장의 연속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소자 내 전체 필드 분포를 구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방식은 나노 패턴이 없는 평면 소자에 적합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FDTD 시뮬레이션과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여 나노 패턴 삽입 소자에 적합한 계산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 방식에서는 소자의 분산 관계를 구하는 데에 크게 세가지 단계를 요구한다. 먼저, FDTD 시뮬레이션으로 소자 내에 분포하는 전체 필드 분포를 구한다. 그 다음, 시뮬레이션 결과를 푸리에 변환을 하여 파동 벡터 도메인으로 매핑한다. 마지막으로는 같은 평면 파 벡터를 가지는 데이터끼리 파시발의 정리에 따라 더해주어 분산 관계를 구한다. 이 과정을 여러 주파수에 대해 수행하게 되면 분산 관계 곡선을 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면 평면 소자 뿐만 아니라 나노 패턴 삽입 소자에 대해서도 광 특성 분석이 가능하다.
Advisors
최경철researcherChoi, Kyung-Cheol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4
Identifier
592382/325007  / 020123063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과, 2014.8, [ vi, 65 p. ]

Keywords

유기발광다이오드; Bragg scattering; Outcoupling; External quantum efficiency; Fourier transform; FDTD; 표면플라즈몬; 에너지손실메커니즘; FDTD; 푸리에변환; 외부양자효율; 광추출; 브래그산란효과; OLED; surface plasmon; energy loss channel

URI
http://hdl.handle.net/10203/19665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92382&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