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계획 수립 시 탄소저감사업 계획에 따른이산화탄소 발생량 분석Analysis of Carbon Dioxide Emission Mass on the Schemes of Carbon Dioxide Diminution in Urban Regener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53
  • Download : 0
본 논문은 대상지역의 탄소발생량 현황과 도시 재생에 있어서 탄소저감 사업에 따른 탄소 저감량을 분석하여 도시재생 계획이 탄소저감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평가하고, 중장기적으로 탄소저감 시나리오별 탄소 발생량 저감치를 예측하여 BAU 대비 탄소저감 목표치를 달성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현황분석에서 대상지역의 탄소발생량은 73,368 tCO2eq로 산정되었으며, 특히 건축물 및 수송 분야의‘에너지’에 해당하는 부분이 44%로 도출되어 이 지역은 건축물 및 수송 분야의 에너지 저감사업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2011년 대비 2020년 탄소 발생량이 74,214.7 tCO2eq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시도에 비해 낮은 증가율을 보이는 것으로 이는 도시쇠퇴에 의한 상가 공실률 증가 및 거주인구 감소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도시재생사업에 의한 탄소 저감량은 3,552 tCO2eq로 약 1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20년 BAU 대비 탄소저감 목표의 5.3%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이러한 도시재생에 따른 탄소 저감량을 높이기 위해 시나리오 A, B, C로 구분하여 각 사업별 목표치를 설정하여 예측한 결과, 시나리오 A가 약 5%, B가 11%, C가 15%로 분석되어 최소한 11% 이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나리오 B를 도시재생 사업의 탄소저감 목표치로 설정하여 중장기 사업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Publisher
한국환경기술학회
Issue Date
2014-12
Language
Korean
Citation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15, no.6, pp.453 - 464

ISSN
1229-8425
URI
http://hdl.handle.net/10203/195688
Appears in Collection
C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