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Dep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신소재공학과)" by Type Conference

Showing results 7001 to 7020 of 7308

7001
일방향 입자성장과 Sinter Forging을 이용한 YBa2Cu3O7 판재 Texturing

노광수; 김재명; 정대식; 김호기; 김원백; 심건주, 한국요업학회 춘계학술대회, 한국요업학회, 1990

7002
일방향입자성장을 이용한 YBa2Cu3Ox 초전도체의 임계전류밀도향상

노광수, 한국요업학회 춘계학술발표, No. B13, 1992

7003
일본의 강유전체 박막 연구현황

노광수, 전자세라믹 심포지움, 한국진공학회, 1995-01-01

7004
일산화탄소 산화 촉매를 위한 금-티타늄 이원계 나노입자의 제일원리 계산

방기훈; 신기현; 류명신; 권순호; 이혁모, 2015 대한금속재료학회 추계학술대회, 대한금속재료학회, 2015-10-30

7005
임피던스를 이용한 에폭시 코팅층의 수열반복시험에 의한 방청성능 연구

권혁상; 손민영, 한국부식방식학회 추계학술대회, pp.41 - 43, 한국부식방식학회, 2004-11-01

7006
입방정기지에서 제 2상의 탄성적 특성과 정합탄성변형에너지의 관계

박중근; 서인식, 대한금속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대한금속학회, 1993

7007
입자 정렬을 이용한 티탄산바륨/에폭시 복합체 유전 특성 향상 연구

김동석; 백창연; 마호진; 김도경, 2015년 한국세라믹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총회, 한국세라믹학회, 2015-11-04

7008
자기기록 재료의 초기 자화상태가 다이비트 패턴의 노이즈에 미치는 영향

이택동, 97 춘계자기학회, pp.20 -, 1997

7009
자기기록용 CoPt-X 박막의 미세구조가 자성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오동연; 박중근, 대한금속재료학회, 추계학술대회, v.39, 대한금속재료학회, 2001

7010
자기장을 이용한 하주 레이들 내의 와류 억제

이진형, 대한금속학회 학술대회, pp.199 - 199, 1996

7011
자기조립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한 균일한 크기의 그래핀 양자점

전석우; 이진섭; 김보현, ENGE 2013, ENGE 2013, 2013-10-25

7012
자동차 구조용 고망간, 고질소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개발

권혁상, 한국부식방식학회, pp.0 - 0, 한국부식방식학회, 2003-10-01

7013
자동차용 피스톤주물의 응고해석

이진형, 한국주조공학회 학술대회, pp.130 - 130, 1992

7014
자성박막의 결정자기이방성 분포가 보자력 각도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오동연; 박중근; 김만철, 대한금속재료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금속재료학회, 2003-04

7015
자성층의 조성과 증착 조건 변화가 Hf/NiFeCo/Cu/NiFeCo/FeMn 다층박막의 거대자기저항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만철; 박중근, 대한금속재료학회, 추계학술대회, v.40, 대한금속재료학회, 2002

7016
자성층의 조성과 증착 조건 변화가 Ta/NiFeCo/Cu/NiFeCo/FeMn 다층박막의 거대자기저항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중근; 김홍원; 김만철, 대한금속재료학회, 춘계학술대회, v.40, 대한금속재료학회, 2002

7017
자연광합성 시스템과 질소 도핑된 탄소나노튜브(NCNT)의 복합체를 이용한 광수확시스템 개발

남윤성; 조녕빈; 김인수; 김정아; 전휘석; 이길용; 김상욱, 2019 ACS Publicatons & IBS Forum, ACS Publicatons, IBS 나노의학 연구단, 연세대학교, 2019-09-30

7018
재부동태 속도론에 의한 스테인리스강의 응력부식 민감도 평가기법

권혁상; 염경안; 조은애; 김종집, 원전기기 건전성 Workshop, 1998

7019
재부동태 속도론에 의한 합금 690의 응력부식균열 민감도 예측

권혁상; 안세진, 한국부식학회 춘계학술발표회, 한국부식학회, 1999

7020
저농도 무수크롬산 용액에서 전해 도금된 Cr 피막층 연구

권혁상; 김기태; 김상범, 한국부식학회 추계학술발표회, 한국부식학회, 1999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