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지식서비스 개요 및 발전방향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508
  • Download : 758
경제는 빠르게 서비스산업 중심 구조로 전환 중이다. 서비스산업의 GDP 비중은 1990년 49.5%에서 2000년 54.4%, 2007년 57.6%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1], 또한 서비스산업의 고용비중 또한 1990년 54.8% 에서 2007년 66.7%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 특히, 지식서비스는 서비스산업 중에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 경제의 핵심산업이다[2]. 또한 지식서비스업은 높은 성장세와 함께 제조업 등 여타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경제성장을 촉진하고, 높은 고용흡수력으로 고용창출의 기반이 되며 고급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2]. OECD는 지식서비스를 R&D 활동, 정보통신기술(ICT)의 투입, 고급인력의 투입 및 활용도가 높은 서비스업으로 정의하며, 또한 지식기반경제는 지식과 정보의 창출, 분배 그리고 활용에 그 기반을 두고 있는 경제를 의미한다고 설명한다[3,4]. 또한 지식경제부는 지식서비스를 인간의 지식을 집약적으로 활용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산업연구원은 지식서비스산업을 직접 지식을 창출하거나 창출된 지식을 가공, 활용, 유통시키거나 지식이 체화된 중간재를 생산활동에 집약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지식 또는 고부가가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5]. 지식과 정보는 노동과 자본 그리고 생산기술을 넘어 중요한 생산요소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며, 지식의 창출과 창출된 지식의 분배 및 활용은 국가경제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일 뿐만 아니라 지역 간 경쟁력의 차이를 나타내는 근본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6]. 따라서 21세기 지식경제사회에서는 국가 또는 지역의 성장을 지식을 창출하는 기반과 창출된 지식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얼마나 잘 구축되어 있느냐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지식의 창출에서부터 지식의 관리, 지식의 전달, 지식의 활용에 이르는 지식서비스의 가치 사슬 전반에 있어서, 각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식서비스관련 연구 및 KAIST IT융합연구소에서 연구 중인 지식서비스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자 한다.
Publisher
한국정보과학회
Issue Date
2009-07
Language
Korean
Citation

정보과학회지, v.27, no.7, pp.18 - 24

ISSN
1738-6322
URI
http://hdl.handle.net/10203/17026
Appears in Collection
EE-Journal Papers(저널논문)
Files in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