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Dep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생명화학공학과)" by Subject 탄소나노튜브

Showing results 1 to 21 of 21

1
(A) study on polymer blend/carbon nanotube composites fabricated by melt compounding = 용융혼합법으로 제조된 고분자 블렌드/탄소나노튜브 복합재에 관한 연구link

Mun, Sung-Cik; 문성식;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2
(A) study on polymer blend/carbon nanotube composites fabricated by melt compounding = 용융혼합법으로 제조된 고분자 블렌드/탄소나노튜브 복합재에 관한 연구link

Mun, Sung-Cik; 문성식;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3
(A) study on polymer/multi-walled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 고분자/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에 관한 연구link

Ha, Heon-Joo; 하헌주;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0

4
Alignment of graphitic nano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 흑연 나노소재의 배향 및 그 응용에 관한 연구link

Youn, Sang-Cheon; 윤상천;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5
Alignments and hybridiz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with functional materials =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배향 및 기능성 유기물과의 혼성에 관한 연구link

Ko, Young-Koan; 고영관;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7

6
Carbon nanomaterials as enzyme host media and their electrochemical applications in biosensors and biofuel cells = 탄소 나노물질을 이용한 효소 고정화 및 바이오센서와 바이오 연료전지 응용에 관한 연구link

Kwon, Ki-Young; 권기영;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0

7
Development of nanobiosensors for bio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 생물공학적 및 환경모니터링을 위한 나노바이오센서의 개발 연구link

Park, Jong-Pil; 박종필;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4

8
Dispers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and preparation of polymer/singlewall carbon nanotubes composites =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 및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에 관한 연구link

Ham, Hyeong-Taek; 함형택;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6

9
Electromagnetic properties of carbon nano-materials based polymer composites and their applications in stealth materials = 탄소나노소재 기반 고분자 복합재료의 전자기 특성 및 스텔스 재료 응용에 관한 연구link

Choi, Jaeho; 최재호;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5

10
Fabrication of carbon nanotube & graphitic nanomaterial thin films and their applications as opto-electronic platforms = 탄소나노튜브와 흑연나노소재로 구성된 박막 제작 및 광전자 기반으로서의 응용 연구link

Kong, Byung-Seon; 공병선;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9

11
Fabrication of electronic biosensor using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film and its application to detection of DNA hybridization = 탄소나노튜브 필름을 이용한 바이오 전자 센서 제작 및 DNA 센서 응용에 관한 연구link

Jung, Dae-Hwan; 정대환;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6

12
Fabrication of high performance carbon nanotubes-polyolefin nanocomposites using novel surface modification methods = 표면개질을 이용한 고성능 탄소나노튜브-폴리올레핀 복합체 제조에 관한 연구link

Lee, Jong-Il; 이종일;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0

13
Fabrication of highly efficient transparent carbon nanotube thin films using hybridization with metal nanoparticles = 탄소나노튜브와 금속나노입자 하이브리드를 이용한 고효율 탄소나노튜브 박막 제작에 관한 연구link

Yang, Seung-Bo; 양승보;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2

14
Metallic and semi-conducting separ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using amine functionalized surface = 금속성 및 반도체성 특성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리에 관한 연구link

Kang, Dong-Seok; 강동석;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0

15
Preparation of structure-controlled nanocarbon-based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 구조제어된 탄소나노소재 기반의 전도성 복합소재 제조 및 응용에 관한 연구link

Kim, Mokwon; 김목원;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4

16
Sonochemical synthesis of nanocomposites based on graphitic nano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 초음파 화학을 이용한 흑연나노물질에 기반한 나노 복합체의 개발과 응용link

Park, Gle; 박글;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1

17
Study on the formation of carbon nanotube plate using low molecular smectic liquid crystals = 저분자 스멕틱 액정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 판상구조형성에 관한 연구link

Jeong, Hyeon-Su; 정현수;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8

18
Study on the microfluidic devices and nano materials for biological applications = 생물학적 응용을 위한 마이크로플루이딕 장치와 나노재료에 관한 연구link

Yang, Kwang-Suk; 양광석;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9

19
Surface engineering of graphene oxide nanosheets as efficient dispersing and reinforcing agents for hybrid carbon nanocomposites = 표면 개질된 산화 그래핀을 이용한 혼성 탄소 복합재료의 물성 향상link

Kim, Jeonghwan; 김정환;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17

20
(The) photorefractive effect of CNT-doped PVK layers in a PR-LC cell = 광굴절 액정셀의 PVK층에 도핑된 탄소나노튜브가 광굴절 특성에 미치는 영향link

Lee, Kwon-Hyung; 이권형;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6

21
탄소나노튜브의 화학적 개질과 폴리스티렌/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 연구 = Study on chemical modification of carbon nanotubes and preparation of polystyrene/carbon nanotubes compositeslink

함형택; Ham, Hyeong-Taek; et al, 한국과학기술원, 2002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