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Dept. of Digital Humanities and Computational Social Sciences(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by Title 

Showing results 21 to 40 of 1973

21
1930년대 교양소설 양식의 가족사소설 연구

최혜실, 한국국어교육연구회논문집, no.38, pp.41 - 51, 1990-09

22
1930년대 금광 풍경과 황금광시대의 문학

전봉관, 한국현대문학연구, v.0, no.7, pp.79 - 121, 1999-12

23
1930년대 도시 소설의 소설 공간

최혜실, 한국현대소설학회, pp.17 - 42, 1996

24
1930년대 도시소설의 소설 공간 -경성 공간의 도시화와 모더니즘 소설과의 관계

최혜실, 현대소설연구, no.5, pp.17 - 42, 1996-12

25
1930년대 반주지주의 문학연구 -서정주와 오장환을 중심으로-

최혜실, 현대문학이론연구, no.4, pp.1 - 78, 1994-10

26
1930년대 사회주의 여성의 성장과 활동

이상경, 카톨릭대학 성평등연구소 학술발표회, pp.33 - 48, 2005

27
1930년대 사회주의여성에 관한 연구

이상경, 성평등연구, v.10, no.0, pp.49 - 80, 2006-02

28
1930년대 한국 시인의 도시 체험과 현대시의 향수

전봉관, 제45회 전국국어국문학 학술대회 , pp.459 - 483, 2002-05-25

29
1930년대 한국 심리소설 연구 -최명익을 중심으로-

최혜실, 한국현대문학연구, no.68, pp.1 - 105, 1986-02

30
1930년대 한국시에 나타난 도시인의 죽음 - 화장장, 공동묘지, 외인묘지

전봉관, 한국현대문학회 2002년 동계 학술발표회 자료집, pp.53 - 63, 한국현대문학회, 2002-02

31
1930년대 한국시에 나타난 현대적 죽음의 표상

전봉관, 한국현대문학연구, v.0, no.11, pp.129 - 152, 2002-06

32
1930년대 한국시의 도시 체험과 향수

전봉관, 국어국문학, v.131, 2002-12

33
1930년대 한국시의 아방가르드와 데카당스 - 김기림 「기상도」의 현재적 의미를 중심으로

전봉관, 한국시학연구, no.20, pp.41 - 61, 2007-11

34
1930년대 한국시의 아방가르드와 데카당스 -김기림 <기상도>의 현재적 의미를 중심으로

전봉관, 제20회 한국시학회 전국학술대회, 한국시학회, 2007

35
1930년대 한국시의 아방가르드와 데카당스: 김기림 <기상도>의 현재적 의미를 중심으로

전봉관, 한국시학회 제20차 전국학술발표대회 , v.20, pp.91 - 102, 한국시학회, 2007-10-27

36
1930년대 후반 여성문학사의 재구성: 강경애의 &lt;어둠&gt;을 중심으로

이상경, 페미니즘연구, v.5, no.0, pp.13 - 41, 2005-10

37
1930년대의 신여성과 여성작가의 계보 연구

이상경, 여성문학연구, no.12, pp.237 - 269, 2004-12

38
1931년의 ‘배화(排華)사건’과 민족주의 담론

이상경, 만주연구, no.11, pp.85 - 115, 2011-06

39
1960-70년대 한국사 개설서의 상업사서술과 상업사연구

고동환, 한국사연구회 창립50주년기념 공동학술대회, pp.65 - 78, 한국사연구회, 2018-11-17

40
1960년대 모더니즘 건축과 도자기 벽화, 예술의 종합과 건축의 전통론

조현정, 미술사학보, no.53, pp.103 - 122, 2019-12

Discover

Type

Open Access

Date issued

. next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