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형률속도를 고려한 차체강판의 이방성에 관한 연구Study on the anisotropy of auto-body steel sheets considering the strain rat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13
  • Download : 0
박판 성형공정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복잡한 형상의 제품을 만드는 것으로 대량 생산성과 제품의 높은 비강도 및 양호한 표면 등의 장점으로 현대 산업의 많은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박판 성형공정은 합리적인 가공설계와 축적된 경험이 필수적이며 이를 바탕으로 성형공정의 최적화, 즉 박판의 물성 특성, 금형의 기하학적인 형상, 금형과 재료간의 마찰, 스탬핑 순서 등의 공정변수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많은 산업 현장에서의 성형공정에 대한 주요 관심사는 높은 성형속도에서 우수한 성형성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금속 판재 성형공정은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점점 절차가 간소해지고, 빨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박판의 물성 특성 중, 항복강도와 r-값은 실제 박판 성형에서 초기 응력상태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금속판재의 성형공정에 관한 연구에서 금속판재의 물성이 상온에서 변형률속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취급해왔기 때문에, 수에서 수백/s의 높은 변형률 속도에서 성형되는 실제의 성형공정에 있어서는 변형률속도 효과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변형률속도 효과로 인한 서로 다른 초기 항복상태는 서로 다른 잔류 응력과 변형률 분포를 유발하게 되고, 이는 더 나아가 스프링 백의 양, 최종적으로는 성형품의 최종 형상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변형률속도에 따른 초기 항복상태와 이방성 물성을 다루고 있으며, 차체용 강재들(SPCC, DP590)의 변형률속도에 따른 각도 별 단축인장 시험을 통하여 유동응력 곡선과 인장 물성을 얻었다. 변형률속도에 따른 r-값은 인장시험을 하는 동안 고속카메라를 사용하여, 시편의 변형 영상분석을 바탕으로 측정되었다. 차체강판들의 변형률속도(0.001/s~100/s)에 따른 이방성은 Hill48과 Yld89 항복식을 이용하여 묘사하였으며, 주응력 평면에 항복곡면을 구성하여 두 이방성 항복식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변형률속도를 고려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와 서로 다른 초기 항복 상태를 보이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변형률속도에 따른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변형률속도에 따른 차체강판의 항복강도와 r-값의 경향을 근사하여 이방성 항복식을 수정하였다.
Advisors
허훈researcherHuh, Hu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0
Identifier
418951/325007  / 020083423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2010.2, [ viii, 101 p. ]

Keywords

항복식; 변형률속도; 이방성; 금속 판재 성형; sheet metal forming; yield function; strain rate; anisotropy

URI
http://hdl.handle.net/10203/45786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418951&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M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