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파장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소형 공초점 내시경 프로브의 설계에 관한 연구Design of small confocal endo-microscopic probe working under multi-wavelength environment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59
  • Download : 0
최근 BT (Biotechnology)란 새로운 이름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생명과학 분야의 괄목할 만한 발전에는 현미경의 발달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즉, 17세기 초 영국 왕립협회의 Hook이 복합렌즈 방식으로 광학현미경을 발명하여 세포 및 미생물을 눈으로 직접 관찰 할 수 있게 되었고, 이후 현미경은 물리학의 발전과 더불어 전자현미경이 개발되어 세포의 미세구조 관찰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첨단의 원자현미경을 활용하여 염색체는 물론 분자 수준에서의 DNA 및 단백질의 구조를 확인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생명과학 발전에 필수 불가결한 도구인 현미경의 계보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레이저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이다. 의료기술을 발달로 인해서 내시경을 이용하여 인체내의 세포를 직접 검사함으로써 질병을 진단하거나 세포내의 신진대사를 밝혀내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에 공초점 현미경과 내시경 모듈을 이용한 공초점 내시경이 널리 사용 되고 있다. 현재는 내시경과 공초점 현미경을 결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조만간 기본적인 의로시술 장비로 널리 활용될 예정이다.
Advisors
권대갑researcherGweon, Dae-Gab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9
Identifier
327243/325007  / 02007412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2009. 8., [ iv, 39 p. ]

Keywords

confocal; endoscope; multi wavelength; miniature; 공초점; 내시경; 다파장; 소형

URI
http://hdl.handle.net/10203/4574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327243&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M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