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성 기울기와 이색성 선 공간을 이용한 조명 색도 추정Illumination chromaticity estimation using dichromatic-slope and dichromatic line space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82
  • Download : 0
본 논문에서는 기존 물리 기반 컬러 항상성 방법들이 갖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여 컬러 분할을 하지 않고 조명의 색에 제한 조건을 두지 않은 영상에 대해 조명 색을 추정 하고 특정 조명 하에서의 색으로 영상 색 보정을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때 특정 조명은 컬러 밴드의 색도가 1/3로 동일한 순 백색의 조명을 의미한다. 한 장의 단일(single) 컬러 영상 혹은 다중(multi)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전체 장면에 균일한 조명의 색도를 추정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3차원 이색성 선 공간(Dichromatic Line Space)을 이용하여 잡음(noise)에 강인하고 신뢰도가 높은 이색성 선(dichromatic line)을 찾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영상에서 경면 반사(specular) 영역을 정확하게 추출할 필요가 없고, 잡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색성 선(dichromatic line)의 오차(error)를 줄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조명 색도에 제한 조건(constraint)를 주지 않기 때문에 자연광 외에도 임의로 필터링(filtering)시켜 만든 인공 조명 색도 추정도 가능하다.
Advisors
권인소researcherKweon, In-So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전공,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5
Identifier
243784/325007  / 02003364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전공, 2005.2, [ vi, 55 p. ]

Keywords

컬러 항상성; Color constancy

URI
http://hdl.handle.net/10203/37893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243784&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