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그램 기반의 특징 추출을 이용한 음성 감정인식 성능 향상Performance improvement of emotion recognition using histograms of speech feature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642
  • Download : 0
음성신호 기반으로 하는 감정인식의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대부분의 연구는 프레임 기반의 특징을 가지고 통계값을 계산하는 supra-segment기반의 특징 추출을 활용하여 감정인식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supra-segment기반의 특징추출 방법은 중요한 통계적인 특성을 놓칠수 있다. 그 이유는 평균, 분산, 왜곡도등과 같은 통계적인 값을 활용하게 되면서 나머지 통계적 정보는 버려지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감정인식에서의 특징 표현방법을 제시한다.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히스토그램을 특징 벡터로써 활용하는 것이다. 히스토그램 기반의 특징 표현은 더 많은 통계적 특성을 반영하고 감정인식에서 중요한 지역적인 변화와 전역적인 추세 특성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지역적인 변화 및 전역적인 추세 특성이 중요한 이유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나오는 특징 벡터 하나만으로 감정 인식을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1차 미분형태를 가지는 특징 벡터를 활용하면 지역적인 변화를 반영할 수 있고 이러한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히스토그램을 구성하여 특징 벡터로 활용하면 전역적인 추세도 반영할 수 있게 된다. 히스토그램 기반의 특징 표현을 이용했을 때 4개의 감정을 구분하는 시스템에서 84.3%의 평균 정확도를 얻었다. 이 수치는 기존 방법인 supra-segment기반의 특징 표현을 하고 KNN으로 인식 했을 때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52%의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 두 개의 감정 구분하는 시스템에서는 86.0%의 평균 정확도를 얻었고 이 수치는 기존 방법과 비교했을 때 29%의 상대적인 성능 향상을 나타낸다. 또한, MFCC 히스토그램을 히스토그램 기반의 특징 표현과 같이 특징 벡터로 활용했을 때 히스토그램 기반의 특징 표현을 단독으로 이용했을 때 보다 4개의 감정 구분에 대해서는 23%, 2개의 감정 구분에 대해서는 24%의 상대적인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CBEA라는 효율적인 인식기를 제안하였다. CBEA는 KNN에 비해 계산 시간이 많이 감소되면서 성능은 비슷한 결과를 보여준다.
Advisors
김회린researcherKim, Hoi-Ri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 및 전자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1
Identifier
467888/325007  / 020094030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 및 전자공학과, 2011.2, [ viii, 70 p. ]

Keywords

고유분석; 감정; 특징 표현; 히스토그램; 감정인식; affect; eigen analysis; emotion; Feature representation; Histogram

URI
http://hdl.handle.net/10203/36792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467888&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