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의 영향에 대한 항공산업시스템의 회복탄력성 연구Resilience analysis of the air transport industry system from the impact of COVID-19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48
  • Download : 0
지난 수십 년 동안 석유파동, 이란-이라크 전쟁, 걸프 전쟁, 9/11 테러 공격, SARAS 및 금융 위기 등의 외부 요인은 항공산업 시스템에 영향을 끼쳤다. COVID-19는 항공산업을 20년 전 수준으로 회귀시킬 만큼 항공산업에 큰 영향을 초래하였다. 회복탄력성은 영향을 받은 후에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시스템의 능력으로 COVID-19와 같은 위기 상황 속에서 빠르게 적응하고 원래의 성능으로 신속하게 회복하기 위한 항공산업시스템의 회복탄력성 향상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에 대한 항공산업시스템 회복탄력성을 국내선 여객수요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량화하였다. 회복탄력성 정량화로 외부요인에 따른 손실과 회복 구간에서의 성능변화를 모두 포함하는 회복탄력성 지표(General Resilience Index, GR), 외부요인에 대한 저항력을 나타내는 강건성(Robustness, R) 및 외부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은 이후에 외부 요인 이전의 수준까지 회복기까지의 회복속도(Recovery speed, RS)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행별 특성으로는 강건성이 1차 유행에서 가장 낮았고 4차 유행에서 모든 지표의 값이 다른 유행대비 높게 나타났다. 지역적 특성 결과로는 내륙노선이 1차 유행의 강건성을 제외하고는 강건성과 회복속도 모두 모든 유행에서 제주노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행이 거듭될수록 회복탄력성은 증가하였다. 항공사 유형기준, LCC가 모든 유행에서 FSC 보다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의사결정나무 분석 결과 회복탄력성은 지역적 특성이 가장 높은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강건성과 회복속도에서는 유행별 요인이 가장 높은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항공산업시스템의 구성 요소별 회복탄력성 척도는 미래 COVID-19와 같은 펜데믹 상황이나 그 외 항공산업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요인에 대한 대응계획 수립 및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의사결정자들의 의사결정에 도움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다.
Advisors
윤윤진researcherYoon, Yoonji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2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2022.8,[x, 130 p. :]

Keywords

COVID-19▼a회복탄력성▼a강건성▼a회복속도▼a항공산업시스템; COVID-19▼aResilience▼aRobustness▼aRecovery speed▼aAir transport industry system

URI
http://hdl.handle.net/10203/30777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1007730&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C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