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유연 피부재생 포토바이오모듈레이션 플랫폼 구현에 관한 연구Study on flexible photobiomodulation platform for skin rejuvenation utilizing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35
  • Download : 0
포토바이오모듈레이션은 비침습적이고 안전한점으로 인해 현재 의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기존 레이저, 발광다이오드를 기반으로 하는 광원기기는 견고하고 유연성이 떨어지는 디자인, 광원 발열문제 등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에게 치유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최근에 들어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차세대 광원 플랫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유연성과 그 치료 효능이 개선 되었지만, 여전히 사용자 신체크기에 걸맞는 대면적, 저비용 플랫폼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추가적인 해결과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학위연구에서는 저비용 측면에서 이점을 갖는 용액공정을 이용하여 부착가능한 유연 유기발광다이오드 포토바이오모듈레이션 플랫폼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층전극 구조, 다층박막 베리어 등을 적용한 파장설계 가능한 유연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 구조설계부터 제작소자의 유연성, 정전류 구동특성 등 소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분석을 다루고 있으며, 플랫폼 소자 대상 피부재생 포토바이오모듈레이션 검증실험을 통하여 플랫폼의 실제 활용가능성에 대해 확인해보았다.
Advisors
최경철researcherKyung Cheol Choi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20
Identifier
325007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부, 2020.2,[viii,105 p :]

Keywords

포토바이오모듈레이션; 유연 유기발광다이오드; 용액공정; 파장설계 가능구조; 고분자 유기발광다이오드; 피부재생; Photobiomodulation; Flexible OLEDs; Solution process; A wavelength designable structure;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Skin rejuvenation

URI
http://hdl.handle.net/10203/284550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947912&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Ph.D.(박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