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gallocatechin-3-gallate와 radicicol에 의한 피부 감작반응 억제 효과에 관한 친구Inhibitory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and radicicol on skin irritant reac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54
  • Download : 0
환경에 존재하는 감작성 물질들에 피부가 노출되면 홍반과 부종 등의 염증 반응을 수반하는 피부 감작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BALB/c 마우스의 귀에서 유도된 피부 감작 반응의 억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표적인 감작성 물질로 알려진 DNCB를 마우스 귀에 도포한 결과 염증 반응의 지표인 부종이 관찰되었고 이는 도포 되는 농도에 의존하여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녹차의 주요 성분으로서 anti-oxidant로 알려진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또는 protein-tyrosine kinase 억제 효과가 있는 radicicol을 먼저 도포한 후 DNCB를 도포한 경우 감작 반응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DNCB에 의해 증가하였던 염증성 cytokine인 IL-1β와 TNF-α의 mRNA 발현이 억제됨을 RT-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를 통해 전사조절인자의 활성을 알아본 결과, IL-β와 TNF-α의 발현에 중요하다고 알려진 NF-κB와 AP-1의 결합 활성이 DNCB에 의해 증가하였고 이는 다시 EGCG와 radicicol에 의해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포 내의 신호 전달 체계 일부를 구성하는 c-Jun N-terminal kinase (JNK)의 인산화가 DNCB에 의해서 증가하고 이러한 현상 역시 EGCG 또는 radicicol에 의해서 저해되는 것을 Western immunoblotting을 통해 확인하였다. JNK는 인산화 됨으로써 활성을 띠고, 이어서 전사조절인자를 인산화 시킴으로써 DNA에 대한 결합 활성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EGCG와 radicicol이 JNK의 활성화를 저해함으로써 NF-kB, AP-1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염증성 cytokine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감작 반응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시사한다.
Advisors
김은준researcherKim, Eun-Jo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과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01
Identifier
166518/325007 / 000993576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과학과, 2001.2, [ vi, 50 p. ]

Keywords

피부감작반응; radicicol; EGCG

URI
http://hdl.handle.net/10203/2794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166518&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B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