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의 한계와 가능성에 관한 연구Limitations and potentials of card news : In-depth interviews with journalists and reader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2419
  • Download : 0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재민-
dc.contributor.advisorJung, Jaemin-
dc.contributor.author김태균-
dc.contributor.authorKim, Tae-gyun-
dc.date.accessioned2017-03-29T02:41:06Z-
dc.date.available2017-03-29T02:41:0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664508&flag=dissertationen_US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10203/221933-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정보경영프로그램, 2016.8 ,[iv, 48 p. :]-
dc.description.abstract카드뉴스는 이미지와 텍스트를 혼합한 '카드'를 빠르게 읽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사 포맷으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플랫폼에 최적화한 것이 특징이다. 카드뉴스는 2014년 국내 언론사의 '모바일 퍼스트' 기조에 따라 도입됐고, 한국 언론 역사상 첫 '대세' 멀티미디어 포맷 자리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런 인기와 반대로 2015년부터 국내 언론계에서는 카드뉴스에 대한 비판적 평가가 나오기 시작했다. 독자 증대와 브랜드 개선 등 면에서 카드뉴스의 효과가 실제 미흡하다는 반응이었다. 이번 연구는 카드뉴스에 관한 선행 연구가 거의 없는 시점에서 카드뉴스의 주요 문제를 짚어보고 한국 언론 산업에서 해당 포맷이 갖는 의의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에 따라 카드뉴스 제작과 기획에 관여한 현직 언론인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했고 10~30대 독자에 대한 인터뷰도 진행했다.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평가 지표의 혼동과 외부 플랫폼과의 경쟁 등 카드뉴스를 둘러싼 대내외 문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는 카드뉴스의 장점과 잠재성도 고찰해 새로운 독자의 개척과 콘텐츠 도달률 신장 등 주요 시사점을 제시했다.-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과학기술원-
dc.subject카드뉴스-
dc.subject독자개발-
dc.subject멀티미디어 뉴스-
dc.subject소셜미디어-
dc.subject저널리즘-
dc.subjectCard News-
dc.subjectAudience Development-
dc.subjectMultimedia News-
dc.subjectSocial Media-
dc.subjectJournalism-
dc.title카드뉴스의 한계와 가능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Limitations and potentials of card news : In-depth interviews with journalists and readers-
dc.typeThesis(Master)-
dc.identifier.CNRN325007-
dc.description.department한국과학기술원 :정보경영프로그램,-
Appears in Collection
KSIM-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