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혁신 커뮤니티 생산성에 대한 영향요소 연구 :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지식창출 프로세스와 인적 구성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effect element of productivity in user innovation communities : focusing on knowledge creation process and the structure of the groups in open-source communitie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777
  • Download : 0
본 논문은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예로 사용자 혁신 조직의 지식창출 프로세스를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Github 이라는 글로벌 오프소스 네트워크에서 3만3천여개의 프로젝트와 6백70여만 건의 사용자 활동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오픈소스 운동 같은 사용자 혁신은 스스로 니즈를 발굴하고 제품에 반영하는 선도사용자가 주도한다는 이론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선도사용자 그룹이 소비자 그룹과 생산자 그룹으로 나뉘어지며, 소비자 그룹의 암묵지가 생산자 그룹에 이전되어 형식지로 바뀌는 과정이 기존의 지식창출 이론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 오픈소스 커뮤니티 내 생산자 그룹 구성원의 수가 많다고 해서 생산성이 높아지는 않으며 , 반대로 소비자 그룹과 선도사용자 구성원의 수가 생산성에 더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용자 혁신 커뮤니티에서 형식지를 창출하는 생산자 프로세스의 능력보다 암묵지인 니즈를 발굴하여 프로세스에 흡수하는 능력이 지식창출의 생산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시사하고 있다.
Advisors
송락경Song, Lak-Kyoung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과(기술경영전문대학원),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4
Identifier
568844/325007  / 020124090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과(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4.2, [ iv, 44 p. ]

Keywords

사용자 혁신; Absorptive Capacity; Knowledge Management; Open-Source Network; User Innovation; 흡수능력; 오픈소스; 지식경영

URI
http://hdl.handle.net/10203/19792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68844&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ITM-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