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환경에서 상황 기반 프라이버시 보호 기법 연구Supporting context-driven privacy handling on mobile environments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486
  • Download : 0
스마트폰은 최초 개인적 사용을 위해 디자인되었으나, 스마트폰이 점점 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면서 개인적 사용을 전제한 모바일 프라이버시 정책으로는 프라이버시 보호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늘어났다. 따라서 사용자 상황에 기반한 새로운 모바일 프라이버시 패러다임이 필요함을 인지하여, 본 연구에서는 `In-situ`와 `Adaptive` 특성에 기반한 모바일 프라이버시 정책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 개념이 구체화된 예제로, 스마트폰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다른 사람이 볼 수 있을 때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기법을 안드로이드 앱 개발자가 쓸 수 있는 유저 라이브러리로 구현하여 SIAP(Screen with In-situ and Adaptive Privacy)라는 API 형태로 제공하였다. SIAP는 Screen Private와 Screen Public 상황을 구분하여 인지하고, 각 상황에 따라 개발자가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엄밀히 따지면 SIAP는 앱 개발자가 ‘사용자가 처하는 여러 상황을 고려’하는 패러다임을 받아들였고, 그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앱을 개발하고자 할 때 이를 돕는 역할이지, SIAP 자체로 하나의 완전한 해결책이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옛 패러다임에서는 풀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을 보이고, 새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해결 가능성을 모색하며, 그 가능성을 프로토타입 구현으로 보여주는 데 의의가 있다. SIAP를 사용해 안드로이드 앱 개발자는 사적인 상황과 공적인 상황에서 사용자 개입 없이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API를 이용한 예시 앱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동일 기능을 개발하는데 개발 기간은 14%, 필요 코드 길이는 1%로 줄어듦을 확인하였다.
Advisors
신인식researcherShin, In-Sik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전산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4
Identifier
569333/325007  / 020123319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산학과, 2014.2, [ iii, 23 p. ]

Keywords

모바일 프라이버시; Adaptive; In-situ; Screen privacy; Android user library; Mobile privacy; 안드로이드 유저 라이브러리; 스크린 프라이버시; In-situ; Adaptive

URI
http://hdl.handle.net/10203/196905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569333&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CS-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