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A/RTI를 이용한 flight simulator(V)-wargame(C) 연동 프레임워크Interoperation framework between flight simulator(V) and wargame(C) using HLA/RTI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Hit : 1440
  • Download : 0
군은 21세기 미래전의 다양하고도 복잡한 전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실전과 유사한 합성전장환경(LVC : Live-Virtual-Constructive) 하에서 훈련하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Live, Virtual, Constructive 시뮬레이터는 다양한 훈련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실 전장과 유사하게 환경을 구축해주는 역할을 한다. Live 시뮬레이터는 KCTC(Korea Combat Training Center)와 같이 실제 환경하에 훈련자들이 참여하여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고, Virtual 시뮬레이터는 훈련자의 조종 기술을 숙달하기 위해 가상의 전장 상황에서 실 훈련자가 참여하여 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뮬레이터이다. Constructive 시뮬레이터는 전투지휘훈련을 위해 가상의 환경을 구축하여 만들어진 시뮬레이터이다. 본 논문에서는 Virtual 시뮬레이터와 Constructive 시뮬레이터를 연동하여 각 시뮬레이터간의 장단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Virtual 시뮬레이션은 실기동이 어려운 여러 장비를 적은 비용과 작은 공간에서도 훈련을 실시할 수 있지만 내부에 내장된 시나리오만이 반복되어 다양한 숙달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Constructive 시뮬레이션은 다양한 상황묘사를 할 수 있으나 현실감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동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어왔으나, 실제 시뮬레이터에 적용할 수 있도록 나타낸 예는 아직까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산모의 운용을 할 수 있는 HLA/RTI 기반으로 Virtual 시뮬레이터의 한 종류인 비행 시뮬레이터와 Constructive 시뮬레이터인 워게임을 통합하는 연동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연동 환경 구축을 위해 데이터 처리부분에서 데이터 갱신의 주기가 서로 다른 시뮬레이션의 데이터를 보완하도록 샘플링과 보외법을 이용하여 설계하였고, 서로 다른 좌표계를 변환해주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연동 프레임워크를 비행 시뮬레이터는 T-50 훈련용 시뮬레이터를, 워게임은 EADSIM(Expanded Air Defense Simulator)에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연동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실험을 통하여, 조종사는 다양한 환경에서 훈련함으로써 조종 기술을 습득할 수 있으며, 조종사의 훈련 결과를 워게임에 반영함으로써 현실감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dvisors
김탁곤researcherKim, Tag-Gonresearcher
Description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 및 전자공학과,
Publisher
한국과학기술원
Issue Date
2011
Identifier
467886/325007  / 020093095
Language
kor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 및 전자공학과, 2011.2, [ vii, 58 p. ]

Keywords

가상 시뮬레이터; 구성 시뮬레이터; 연동; HLA/RTI; Constructive simulation; T-50; EADSIM; Interoperation; Virtual simulation

URI
http://hdl.handle.net/10203/180721
Link
http://library.kaist.ac.kr/search/detail/view.do?bibCtrlNo=467886&flag=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
EE-Theses_Master(석사논문)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_code

  • mendeley

    citeulike


rss_1.0 rss_2.0 atom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