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College of Natural Sciences(자연과학대학)" by Type Conference

Showing results 7661 to 7680 of 7779

7661
자성박막의 국소 자기보자력 측정 및 자화역전현상 연구

최석봉; 신성철, 제 19회 한국진공학회 학술발표회, 한국진공학회, 2000

7662
자이로스코우프 응용을 위한 어븀첨가 광섬유 고리레이저 연구

김승관; 김병윤, 제4회 광자기술 학술회의, pp.0 - 0, 한국통신학회, 1995-01-01

7663
자체상관을 이용한 광펄스의 세기분포 추론 : 최대 엔트로피 방법의 응용

김천민; 서정철; 정세채; 김동호; 윤춘섭, 한국광학회/파동 및 레이저 학술발표회, 1998

7664
자화벡터 측정을 위한 토크곡선 해석법

허진; 신성철, 한국물리학회 학술대회, pp.11/2,422 -, 한국물리학회, 1993

7665
자화역전 정량적 분석의 새방법

최석봉; 신성철, 한국자기학회 춘계발표회, pp.C-10 -, 한국자기학회, 1997

7666
장파장 수직공진 표면광 레이저 연구

이용희; 송현우; 김창규, 한국물리학회 학술대회, pp.0 - 0, 한국물리학회, 1994-01-01

7667
재생 증폭기에 의한 0.6mJ @10kHz / 8.3ns (6W) 펄스 레이저

최성웅; 공홍진, 한국광학회 2015년 동계학술대회, 한국광학회, 2015-01-30

7668
재형성 가능한 광섬유 결합된 1차원 광결정 나노빔 공진기

김주영; 안병현; 심홍철; 이용희, 한국광학회 2010년 하계학술발표회, 한국광학회, 2010-07-15

7669
재형성 가능한 사각격자 광결정 공진기

김주영; 김명기; 이용희; 황인각, 한국광학회 2008 동계학술대회, 한국광학회, 2008-02-14

7670
잭과 에지를 이용한 지도에서의 영역 구분

우창헌; 한상백; 김수용, 한국GIS학회1994년 추계학술대회29, 한국GIS학회, 1994

7671
저간섭성 간섭계를 이용한 두께와 굴절률의 동시 측정

이명수; 오명숙; 김병윤, 한국물리학회 학술대회, pp.0 - 0, 한국물리학회, 1998-01-01

7672
저분자 불소기 액정의 분자 배향 및 상변화관찰

Yoon, Dong Ki; Choi, Myung Chul; Kim, Yun Ho; Kim, Mahn-Won; Hee-Tae Jung, 고분자학회 학술대회, 고분자학회, 2006

7673
전광섬유 음향광학 대역투과필터를 사용한 파장가변 단일주파수 어븀첨가광섬유 고리형레이저

김병윤, 제9회 광전자 및 광통신 학술회의, pp.0 - 0, 2002-05-01

7674
전극배치가 EEG의 Single Dipole Source추정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기범; 김동우; 배병훈; 김수용, 1994년도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131,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4

7675
전기바아전에서 탐침모양이 방정상의 프랙탈 차원에 미치는 영향

김기웅; 이순칠, 1996 한국물리학회 가을학술논문발표회, pp.318 - 318, 한국물리학회, 1996

7676
전기화학적 주사현미경 ; 직류방식과 교류방식

곽주현, 94 국내외 한국과학기술자 학술회의 추계 Workshop, v.0, no.0, pp.33 - 37,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KOFST), 1994

7677
전도성 초분자 액정 분자체의 정렬과 전기적 물성

윤동기, 제19회 한국 액정 학술대회, 제19회 한국 액정 학술대회, 2018-01-17

7678
전류 구동 단일 결함 육각형 모드 광결정 레이저

서민교; 정광용; 양진규; 이용희, 한국광학회 2007 하계학술대회, 한국광학회, 2007-07-18

7679
전자 싸이클로트론 공명방법에 의한 플라즈마원의 제작과 그 특성 연구

최덕인, 한국물리학회, pp.292 -, 1989

7680
전자 현금의 일반적인 분할성 제시 방안

신준범; 전경화; 조현성; 함호상; 한상근; 이광형, 정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pp.595 - 598, 한국정보과학회, 1997-01

rss_1.0 rss_2.0 atom_1.0